d라이브러리
"영어"(으)로 총 1,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1회 청소년 물리탐구토론대회 - 발표 · 반론 · 평론의 3박자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진행됐다. 참가한 학생들의 영어실력은 뛰어났지만, 토론에 그리 익숙지 않은 상황에서 영어로 말을 해야하기 때문에 심도있는 토론이 이뤄지지 못했다.또한 이번 고등부에 참여한 학교팀이 모두 과학고였다는 사실이 아쉬운 점이었다. 학생들이 해온 결과를 살펴보면 팀이 함께 오랜 시간 동안 ...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지구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한때는 우리은하가 우주에서 유일한 우주인 줄 알고 영어로 ‘the Galaxy’ 같이 표기한 적도 있다. 하지만 무수한 은하가 발견되면서 이제는 ‘our galaxy’, ‘galaxies’ 같은 표현이 쓰이게 됐다. 여기서 ‘galac-’ 이란 말은 우유를 뜻하므로(생물 과목에 나오는 galactose ...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의약품 이름으로 사용한 ‘밀리칸’은 기적(miracle)의 간암(liver cancer) 치료제란 뜻으로 영어 앞글자를 따서 만든 새로운 단어고, ‘주’는 병원에서 사용되는 주사액제에 흔히 붙는 말이다. 의약품 이름에 기적이란 말을 직접 사용했다는 사실 하나에서도 동화약품이 밀리칸주에 거는 기대를 느낄 수 ...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천문학에서는 행성의 경우뿐 아니라 별의 경우에도 자전축 기울기를 이렇게 정의하고 영어 inclination (기울기)을 의미하는 기호 i로 나타낸다. 이런 식으로 정의하면 금성의 자전축은 (그림3)처럼 기울어져 있으므로 i=178°가 된다. 즉 지구의 북극이 ‘태양계 위’를 향하고 있다면 금성의 북극은 ... ...
-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생물정보학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을까.생물체의 유전정보는 DNA에 수록돼 있다. 영어는 26개의 알파벳을 사용해 의미를 전달하는데 비해 유전정보는 ACGT라는 4개 글자만을 사용한다. A(아데닌), C(시토신), G(구아닌), T(티민) 4가지 염기가 인간의 경우 약 33억쌍이 염기서열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커다란 ... ...
-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과학동아 l2001년 09호
- 과학 대중화에 지대한 공헌을 한 세계적인 천체 물리학자 칼 세이건(Carl Sagan, 1934-1996). 영어로 출판된 과학 서적 중 가장 널리 읽힌 ‘코스모스’의 저자로 잘 알려진 그는 생애 마지막 작품인 이 책에서 사람들이 사이비과학(pseudo-science)에 빠져드는 이유를 잘못된 과학교육, 과학자들의 무책임, ... ...
- 네트워크와 모바일 컴퓨팅 시공간 굴레 벗고 무선통신 즐긴다과학동아 l2001년 08호
- 전달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칙이 설정돼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를 쓸 것인지 영어를 쓸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서로의 주소가 올바르게 작성돼야 한다. 또한 등기인지 속달인지 우편물의 유형을 결정해야 하고, 편지를 분실할 경우의 대책도 알고 있어야 한다. 컴퓨터의 개념으로 따져보면 ... ...
-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Ⅱ과학동아 l2001년 08호
- 아테나 신전에서 본 ‘니케’(승리) 여신을 생각했을 것입니다. 날개 달린 니케(영어로는 ‘나이키’) 여신을 떠올린 것은 우연이 아니었을 겁니다. 니케 여신의 날개만이 유일한 희망이었을 테니까요.다이달로스가 만든 미궁의 대부분은 지붕이 있어서 미로는 늘 어둠에 잠겨 있었지요. 그러나 이런 ... ...
- 은하수로 떠나는 한여름밤의 꿈과학동아 l2001년 08호
- 수 있다.여름밤 대표적 별자리헤라클레스자리 Hercules(Her)별자리를 이루는 밝은 별은 영어 알파벳의 H를 닮았다. 사다리꼴의 네 별이 특히 눈에 잘 들어와 헤라클레스자리를 찾는 길잡이가 된다. 이 네 별은 그 생긴 모습에서 주춧돌이라 불린다. 헤라클레스자리에는 북반구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 ...
- 1. 최신항공기 경량화의 첨병 강철만큼 강하고 5백℃ 견딘다과학동아 l2001년 08호
- 작은 분자들이 수백에서 수백만개가 화학적으로 결합해 거대한 분자를 형성한 것이다. 영어로는 폴리머(polymer), 또는 거대분자(macromolecules)라고 불린다.자연현상에서는 분자들이 서로 모여서 거대분자를 형성하기보다는 무질서하게 서로 흩어지려는 경향이 일반적인데, 고분자 재료의 합성과정은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