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7 태국 탐사대 달콤한 맛과 향의 도시 지난 2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가 시작되면서 방콕으로 수도가 지정됐다. 태국은 국민의 90% 이상이 불교를 믿는다. 집안에 작은 사원을 만들어 놓은 사람도 있고, 여럿이 돈을 모아 거리에 사원을 짓는 사람들도 있다. 국가 차원에서 짓는 사원도 있다. 사원 이름에 붙는 ‘왓’은 사원을 뜻한다. 일정 동안 탐사대원들은 여러 ... ...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규칙은 그대로 하고 게임 공간만 다르게 바꾸는 거예요.오른쪽 그림과 같이 출발점에서 집까지 천적을 피해 가는 길을 찾아가는 게임을 디자인할 수 있어요. 게임플레이어는 사각형 연못에 있는 천적과 마주치치 않게 길을 찾아 가면 돼요. 연못의 개수와 등장하는 동물 조합을 달리해 다양한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제가 가장 좋아하는) 맛집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ISAS 서쪽에 수타 소바집이 있고요, 전철역과 ISAS 중간쯤에는 오키나와바가 있는데 요즘 연구원들 사이에서 인기 최고라고 합니다 ... ...
- Part 1. 수학으로 본 작은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환해졌다.아이들이 다시 깨어났을 때는 부엌이었다. 부모님에게 작아졌었다고 말했지만, 집안을 어질러 놓았다고 꾸지람을 들을 뿐이었다. 아이들은 자신들이 어떻게 작아질 수 있었는지, 또 어떻게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는지 잘 모른다. 하지만 아이들의 경험은 진짜였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새로운 정훈으로 구성되었다. 해커들은 업로드가 되자마자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편집했다. 정훈의 내부에는 정훈과 함께 긴 시간을 살아 낸 하얀 눈썹의 유미가 틀어박혔다.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정훈과 유미는 데이터 속에서 충돌하지 않고 하나로 위치를 찾아가기 시작했다. 통합된 데이터로 ... ...
- [가상인터뷰] 해마 유전체 완전 해독!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후, 그 속에 들어 있는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작은 새우를 씹지 않고 삼켜 먹지요.우리 집으로 함께 가지 않을래?사실 해마의 유전체가 완전히 해독된 것은 처음이에요.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우리의 독특한 생김새와 흥미로운 습성이 무엇 때문인지 궁금해 했지만, 명확한 원인을 알아내지 ... ...
- [Issue] 사랑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관계에 의존적이고 내가 관계에 얼만큼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는지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나의 능력, 자율성, 상대방과 나의 관련성이 높으면 그 관계를 통해 자존감이 높아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심리 요소들이 이전만큼 충족이 되지 않으면 자존감이 낮아지게 됩니다. 관계 의존적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 있을 것이다.▲인플루엔자가 얼마나 빨리 확산되는지, 전염을 멈추려면 언제 어느 집단을 대상으로 중재해야 할지 예측할 수 있을까. 건국대 수학과 정은옥 교수와 이종걸 박사팀은수도권에서 통근, 통학하는 인구 데이터를 이용해 수리모델을 만들었다. 인플루엔자 감염자가 과천에서 최초로 ...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우주인들이 집처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어때요? 집처럼 아늑하게 느껴지시나요?Home sweet home이곳에는 당신의 방과 화장실, 샤워실, 부엌, 도서관은 물론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온실까지 갖춰져 있습니다. 화성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냐고요? 물론이죠. 지난 ... ...
- [Origin] 사기꾼에게 한 번 속지, 두 번 속나?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이타적 행동이 아니라 둘 다 이득을 얻는 상리적 행동이다.그러나 트리버스는 고집을 꺾지 않았다. 그는 비친족끼리 서로 돕는 행동도 어쨌든 일시적으로는 이타적 행동이라고 강변하며 ‘상호성(reciprocity)’이 아니라 ‘상호 이타성(reciprocal altruism)’이라는 제목으로 1971년에 논문을 발표했다.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