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 구름을 보게 됐죠. 일몰이 시작되고 약 30분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바로 카메라를 집어 들고 밖으로 나갔습니다. 그리고는 조개 껍질 안쪽처럼 아름답게 빛나는 붉은 하늘을 촬영했습니다(아래 사진). 서쪽 하늘이 온통 물결 무늬 속의 강렬한 색채로 뒤덮이기 전에요. 하늘은 밝은 분홍빛부터 ... ...
- [DJ CHO의 롤링수톤] 에스허르 하우스에 갇힌 가상 밴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머독이 화날 만합니다. 끊임없이, 무한히 이어지는 계단과 문으로 이뤄진 이 난해한 집은 계단을 오르내릴 때마다, 문을 열 때마다 멤버들을 예상하지 못한 방으로 인도합니다. 이게 다 착시 그림으로 유명한 에스허르가 설계했으니 벌어진 일이지요.해고된 에스허르는 누구?에스허르는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바람이 강하지도 않다. 아래로 부는 바람이 강하면 바람에 날린 돌에 사람이 다치거나 집, 자동차가 파손될 수도 있다. 보통 헬리콥터는 1분당 회전 수(rpm)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프로펠러의 각도를 조절해서 방향을 잡는다. 하지만 드론은 각각의 프로펠러 회전 수를 조절할 수 있어서 회전 속도에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곡류를 먹고 자라는 화랑곡나방 애벌레와 성충은 쌀벌레로 불리기도 하며, 우리나라 가정집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갈색거저리는 밀웜이라고도 한다. 반려동물의 먹이나 차세대 곤충 식량의 재료로 유명하다.2014년 11월 ‘환경과학기술’에는 PE 필름을 먹는 화랑곡나방 애벌레에 대한 연구가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만나보세요! 움빠룸빠 둠 두비두바 둠멈추지 않아 춤을 춘다, 다시♬ 다시♬아이유의 3집 타이틀곡 ‘분홍신’을 들어보자. 밀고 당기는 박자에 몸이 저절로 들썩인다. 이게 바로 재즈다. 아이유는 ‘분홍신’을 즉흥연주 기법으로 녹음했다. 전체 흐름만 정하고 멜로디와 박자는 연주자들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않고 갑자기 호루라기를 불며 소리를 빽 질렀어요.“그런 안일한 정신으로 비밀과학집단을 이길 수 있겠나! 지금부터 지옥 훈련에 들어간다!”친구들은 10m 높이에서 밧줄을 타고 뛰어내리거나, 철조망 아래 진흙탕을 기어가면서 한계에 도전했어요. 하루 종일 극한 체험으로 거지꼴이 된 시원이와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해상 도시’, 도시에서도 식품 공급이 가능한 ‘수직 농장’과 ‘옥상 목장’, 맞춤형 집이 뚝딱 만들어지는 ‘3D프린팅 주택’ 등이 꼽혔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Part 3. ... ...
- 미션! 소파를 옮겨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로믹 교수는 3D프린터로 여러 도형을 출력해 보며 새로운 도형에 대해 영감을 얻었다. 집에 있는 3D프린터로 도형을 출력하는 일이 로믹 교수의 취미 생활이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로믹 교수는 “3D프린터로 도형을 만들어 움직여 보면 직관적으로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취미인 3D프린터를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굳이 찾아하는 건 아니지만 막상 하게 되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즐기게 되는 보드게임 중에는 수학을 토대로 만들어진게 있다. 수학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어 수학이 있는 줄 모르지만, ...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뛰어난 인공지능이다. 베델 교수는 “현존하는 아동 수사면담 지침과 과거 면담에서 수집한 데이터, 그리고 전문가의 의견과 현재 수사면담의 상태 등을 종합해 로봇 수사관의 다음 행동을 결정하는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혹시 로봇 포렌식을 한국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이승진 교수는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