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번역"(으)로 총 2,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딱딱한 뼛속에서 피가 만들어진다?! 몸에 상처가 나면 밖으로 빨간 혈액이 흘러나와요. 물처럼 흐르기 때문에 액체라고 오해하기 쉽지만, 혈액에는 고체와 액체 성분이 섞여 있어요. 고체 성분을 ‘혈구’, 액체 성분을 ‘혈장’이라고 한답니다. 혈구의 종류는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으로 각각 ...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큐브샛, 우주 실험실이 되다!큐브샛은 인간이 우주에 올려 보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인공위성을 말해요. 지난 199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와 스탠포드대학교 연구진이 학생교육 프로젝트를 하면서 처음 만들었지요. 학생들이 인공위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 만들어 보는 실습이 필요했 ...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큐브샛은 작지만 여러 대가 뭉치면 다목적 위성만큼 멋진 일을 해낼 수 있구나. 큐브샛 수십 대가 줄맞춰 비행하는 모습을 상상하니 정말 멋져! 그런데 감탄을 하기엔 아직 일러. 박사님께서 말씀해 주셨는데 달이나 화성은 물론, 먼 우주까지 가는 큐브샛도 있대! 달에서 물 찾고 소행성 탐사 나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연소의 3요소’나 ‘인체의 구성 요소’에 사용되는 ‘요소(要素)’는 ‘어떤 물체나 현상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성분이나 조건’을 가리키는 한자어예요. ‘중요하다’를 의미하는 ‘요긴할 요(要)’와 ‘본질’을 의미하는 ‘본디 소(素)’가 합쳐졌지요. ‘요긴할 요(要)’는 ‘사람 ... ...
- Part 1. 더욱 진짜 같은 가상현실이 온다! 혼합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어때? 내 지느러미 촉감이 느껴져? 이처럼 혼합현실은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보다도 더욱 진짜처럼 느껴지는 기술이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장점만 쏙~!“자비스! 페퍼에게 전화 걸어 줘.”영화 ‘아이언맨’을 보면, 주인공 토니가 집사 인공지능 자비스에게 이렇게 주문해요. 그러면 자비 ... ...
- Intro. 붉은 깃털이 새우 때문? 홍학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철새 연구가 ‘와타가타 버드’야. 얼마 전 서해안에서 수상한 새 한 마리가 나타났다는 제보를 받고 달려왔지. 며칠간의 잠복 수사 끝에 소문의 새를 보게 됐는데…. 그런데 저 새는 우리나라에서는 못 보던 종류네? 대체 정체가 뭘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붉 ... ...
- Part 1. 깃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저 새의 깃털이야. 붉은색을 띠는 아주 아름다운 깃털을 가지고 있군. 가만 있자…, 붉은색 깃털이라면 혹시…? 아름다운 붉은색 깃털의 주인공, 홍학!홍학의 ‘홍(紅)’은 ‘붉다’는 뜻이에요. 영어로는 ‘플라밍고(flamingo)’ 라고 하는데, 라틴어로 ‘불꽃과 같은 색깔’ ... ...
- Part 3. 제6의 감각이 되다! 혼합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상상이 생생하게 살아난다! 혼합현실Part 1. 더욱 진짜 같은 가상현실이 온다! 혼합현실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Part 3. 제6의 감각이 되다! 혼합현실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독특한 부리로 먹이를 먹는 홍학!동물원에서 홍학이 먹이를 먹는 모습을 본 적이 있나요? 홍학은 부리를 물속에 거꾸로 넣어 먹이를 찾아요. 혀와 턱을 빠르게 움직여서 물을 빨아들이고, 물속의 갑각류와 남조류 등을 걸러 먹는답니다. 홍학이 이렇게 먹이를 먹을 수 있는 건 독특한 부리 덕분이 ... ...
- Part 3. 군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이 구역의 ‘춤꾼’은 나야 나!홍학은 적게는 50마리, 많게는 수천 마리까지 거대한 무리를 이루어서 살아요. 과학자들은 홍학의 서식지가 정해져 있고, 또 무리 속에 함께 있으면 포식자로부터 더 안전하게 새끼를 보호할 수 있어서 무리를 이루어 살게 됐을 거라고 추정해요. 또, 짝짓기를 할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