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13족 원소가 핵심물질로 쓰이는 추세다. 이 교수팀이 활용하고 있는 인화인듐(InP)이 대표적이다. 인화인듐은 13족의 인듐에 15족의 인을 합성한 물질로, 독성은 적지만 카드뮴을 사용하는 퀀텀닷에 비해 결합력이 약해 합성하기가 어렵고 발광효율도 낮다.이 교수는 “현재 인화인듐의 발광효율은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다양해지는 문제가 있었어. 그래서 오가노이드를 칩 위로 옮겨오잔 아이디어가 나왔어. 대표적으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허동은 교수팀은 장 오가노이드 주변으로 촘촘하게 혈관 구조가 있는 칩을 만들고 있어. 혈관으로 성장 물질 등을 흘려보냈을 때 장 오가노이드에 골고루 영향을 미칠 수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몸에 과도한 양의 지방이 축적되면 에너지 불균형의 악순환이 시작되는데,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가 바로 인슐린 저항성과 렙틴 저항성이다.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은 분비되지만 인슐린의 작용이 저해된 병적 상태다. 남는 지방을 인슐린이 분비돼 흡수하지만, 들어오는 지방의 양이 많아 ... ...
- [매스미디어] 수학이 보이는 자칭 먹방 예능, 도레미마켓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신동엽, 박나래를 포함한 7명의 고정 출연진과 2~3명의 초대 손님이 매주 다른 시장의 대표 음식을 걸고 ‘노래 가사 받아쓰기’를 합니다. 노래 가사 받아쓰기는 총 2라운드로, 각 라운드당 노래를 한 곡 듣고 특정 구절의 가사를 맞혀야 합니다. 라운드가 시작되면 노래 제목과 가수, 받아 쓸 구절의 ... ...
- 신상 콤부차 대해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일주일에 두 번씩 30일 동안 먹이고, 매일 콤부차를 줬다. 그리고 간염의 정도를 알려주는 대표적 표지인 간세포 내 효소(ALT, AST)를 측정했다. 수치가 낮을수록 간이 덜 손상됐다는 뜻이다. 실험 결과, 콤부차를 마신 쥐는 ALT는 70.15%, AST는 71.56% 수준으로 모두 감소했다. doi: 10.4014/jmb.0806.374하 ...
- [과학동아 키즈] 네이처, 사이언스 표지도 제 손에서 탄생했어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술술 읽혀요 “무슨 일 하세요?”나에게 가장 어려운 질문이다. 한마디로 설명하기 어렵고, 구구절절 설명을 해도 정확히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럴 때마다 나는 답변 대신 직접 표지 작업을 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를 건네곤 한다.“이런 그림 만드는 사람입니다.” 국제학술지 표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아니라 광센서, 레이저, 위조 방지 등 여러 분야에서도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대표적으로 광센서의 경우 매우 얇게 만들어 웨어러블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가령 당뇨병 환자의 약 4분의 1은 합병증으로 혈액순환 장애를 겪으면서 손가락과 발가락 끝이 괴사하며 검게 변하는 당뇨성 창상을 ... ...
- [진로체험] 지윤성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로 세상을 읽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남기는 ‘데이터 시대’에 살고 있다. 그만큼 데이터 분석이 중요한데, 핀테크 기업에서 대표이사를 하다가 돌연 데이터 분석 전문 회사를 창업한 지윤성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를 만나 데이터 분야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데이터 관련 일을 어떻게 하게 됐나요?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버립니다. 사람이 볼 수 있는 빛은 보라색부터 빨간색까지 흔히 무지개의 일곱 색으로 대표되는 가시광선 영역(380~750nm)입니다. 이 중에서도 약 500nm 이하의 파장을 가진 보라색 및 푸른색 계열의 빛을 통칭해 흔히 청색광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톨레도대 연구팀은 디지털기기나 태양 빛에 포함된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미국의 로봇개발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2019년 9월 출시한 로봇개 ‘스팟(SPOT)’이 대표적이다. 스팟은 개나 말처럼 네 개의 발을 번갈아 사용해 울퉁불퉁한 지형을 안정적으로 오르내린다. 윤 교수는 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던 2005년부터 자연모사 로봇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