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26개 뼈와 33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형성되려면 뼈와 인대의 구조가 갖춰지고 발의 여러 곳에 부착하는 근육과 힘줄이
역할
을 해야 하는데, 그것들이 서서히 성숙하면서 아치도 서서히 형성된다”고 설명했다. 개인에 따라 키와 성장 속도가 다르듯, 아치의 높이와 아치가 성장하는 속도도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안 교수는 “유전적인 ... ...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인명’이라는 법명까지 있는 이 로봇은 관광객을 안내하는
역할
을 맡고 있습니다. 그런데 절의 요청은 오작동한 로봇을 수리해 달라는 게 아니었습니다. 인명의 상태가 정상인지 판정을 내려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상태가 어떻기에 판정을 내려달라는 걸까요? 성 아퀸을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세포를 키우는 병들입니다. 연구실에서 개발 중인 신소재의 세포 독성을 실험하기 위해서는 세포가 필요하거든요. 우리 몸에 적용할 생체 소재는 독성을 띄지 않는 것이 가장 중 ... 비공유결합을 한다. 일례로 생체 내 단백질이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할 때 핵심적인
역할
을 한다 ... ...
[통합과학교과서] 토끼의 고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말라’는 신호로 받아들인답니다. 결국 빛이 멜라토닌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막는
역할
을 하는 셈이지요. 반면, 밤엔 빛의 양이 줄어들어 ‘멜라토닌을 만들지 말라’는 신경 신호가 약해져요. 그러면 솔방울샘은 방해하는 신호가 없으니 계속해서 멜라토닌을 만들어내지요. 이런 원리로 ... ...
[과학뉴스] 위장크림처럼 세포막 바른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쥐 실험을 통해 CMCB가 체내 면역체계의 공격을 받지 않고 종양 촬영에 필요한 조영제
역할
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리우 교수는 “이 기술은 장내 미생물이나 치료용 박테리아 같은 다른 균주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적혈구, 백혈구, 암세포 등 다양한 세포막으로도 코팅할 수 있어 여러 ... ...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분석했다. Q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는 반도체 공정에서 어떤
역할
을 하나? A 포토레지스트로 덮고, 플루오린화수소로 깎고 반도체 제조 공정을 세분화하면 수백 단계에 이르고, 여기에 들어가는 소재만 수천 가지다. 반도체 제조 공정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판화 제작에 ... ...
너는 지금 달리기가 하고 싶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화석 기록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발이다. 인간의 다리는 스프링
역할
을 하는 긴 힘줄들이 짧은 근육 다발과 연결돼 있어 힘을 효율적으로 낼 수 있다. 아킬레스건이나 발바닥 아치 구조가 대표적이다. 약 390만 년 전부터 290만 년 전까지 지구상에 존재했다고 알려진 ... ...
통증은 고통스럽기만 한 걸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통증은 손상 부위의 움직임을 줄여 손상 부위가 회복될 때까지 보호하는 안전장치
역할
도 한다. 중추신경의 이상 작용 ‘환상통’생리적 통증이 만성화되거나 손상 부위가 없는데도 지속적으로 통증이 유발되면 통증 자체가 질병이 되기도 한다. 이런 통증을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이라고 ... ...
[동아리탐방]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G.O.M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맡는데, 수학 나눔 활동을 하면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여러 학생들을 가르쳐주는
역할
까지 여러 일을 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본격 동아리 뽐내기 시간"우리 동아리는요~!" 모든 걸 동아리원 스스로 해서 평범한 듯 특별한 G.O.M의 활동!동아리원이 꼽은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 세가지를 ... ...
[과학뉴스]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박사과정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감마파가 뉴런의 리듬을 조율하는 메트로놈
역할
을 한다는 가설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라며 “사람에게도 감마파 리듬이 존재하는 만큼 이번에 발견한 뉴런이 영장류와 인간에게도 존재하는지 추가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doi:10.1016/j.neuron.2019.06.01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