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빗물이나 강에 쓸려 바다로 유입되는데, 맹그로브가 해안가에서 이런 유기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유기물이 가득한 맹그로브 숲에는 똥 냄새와도 비슷한 풍부한 유기물 냄새가 나기도 한다. 덕분에 바다는 맑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정 양은 “열대해양이 맑게 유지되는 이유를 알고 ... ...
- SF, 현실이 되다 애드 아스트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무게가 100분의 1 정도면 된다”며 “달은 화성 등 다른 행성을 탐사할 때 중간 기착지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전 포인트 2 레골리스 위에서 벌인 추격전“미확인 차량이 우리 쪽으로 접근한다. 알파 즉시 지원 바란다.”화성행 로켓으로 갈아타기 위해 월면차를 타고 달의 ... ...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용해 코팅제에 셀룰로오스를 첨가해 코팅제가 섬유에 잘 들러붙게 했다. 섬유유연제의 역할을 할 향기 캡슐도 코팅제에 포함 시켰다. 캡슐은 미역, 다시마 등의 세포벽을 이루는 식물성 원료인 알긴산을 이용해 자체 제작했다.차박사 아들딸 팀의 이인우 양(충북과학고 3학년)은 “이미 발생한 ... ...
- [수학뉴스] 새로운 관점으로 난제를 해결한 수학자, 윌리엄 서스턴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다른 수학자들에게도 영감을 줘서 오랜 시간 풀리지 않은 난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던 서스턴은 2012년 8월 21일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연구는 후대 수학자들에게 여전히 영향력을 떨치고 있습니다. ... ...
- 법률 자문 놓고 첫 대결 AI 변호사 vs. 인간 변호사 진검승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번에 우승한 팀은 코드 번호 108번, 2등은 109번, 3등은 106번입니다. 어느 팀이시죠?”호명된 팀이 차례로 손을 들었다. 순간 장내가 술렁거렸다. 이들은 모두 인 ... 법률 AI는 법률가의 업무를 돕거나 일반인이 간단한 법률을 검토할 때 사용되는 조력자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2017년 필자는 그간 지능과의 연관성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측두엽과 소뇌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8-017-02304-z우리는 17~48세 남녀 92명을 대상으로 지능지수(IQ) 검사와 함께 fMRI와 DTI 촬영 자료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결국, 충분하고 건강한 수면이 뇌의 기능과 지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수면 시간을 쪼개 학습에 쓰는 것이 당장 성적을 올리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학습 능력을 키우는 데에는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뻔한 얘기 같지만 ... ...
- 5G 시대 데이터 간섭 해결할 기지국 협력 전송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정보를 보내는 트랜스미터와 정보를 수신하는 리시버, 그리고 정보를 빼내려는 도청자 역할을 하도록 설정했다”며 “이렇게 간단한 시스템만으로도 정보를 주고받을 때 손실이 발생하는지, 도청자가 침입하려고 할 때 보안이 유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5G 기지국, 어디에 몇 개 ... ...
- [과학뉴스] 열대 지방의 배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지방은 식물이 많고 숲이 우거져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영국 에든버러대 연구팀이 인공위성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 북아프리카 열대 지방은 다른 열대 지방과 달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보다는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탄소와 관계없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앞으로도 탄소가 인류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이유다. 이덕환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에서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낸 뒤 서강대 화학과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