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함부로 버린 약, 하천
미생물
내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2
의미한다. 연구를 진행한 엠마 로지 연구원은 “담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의약품이
미생물
군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1월 9일 생태학 저널 ‘에코스피어(Ecosphere)’에 발표됐다. 이런 연구는 국내에서도 진행된 바 있다. 국내 하천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프랑켄슈타인을 접했을 때의 소감들이 함께 실렸다. 인공 DNA를 개발한 데 이어 작은
미생물
을 합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크레이그 벤터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생화학과 교수는 “프랑켄슈타인은 신의 영역이였던 창조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을 달리 볼 수 있게 만든 작품”이라며 “역사상 ... ...
이대병원 신생아 사망 유발 시트로박터 균은 무엇?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시프로박터 프룬디 균은 물이나 흙 등 자연 환경이나 체내에 있는 장 속에서 생활하는
미생물
(또는 세균)이다. 피부에 상시 서식하는 피부상재균이 아니기 때문에 병원 관계자가 일반적인 상황에서 신생아에 대해 조치를 취하는 과정에서는 감염되기 어렵다. 국과수에서 의료진의 과실 가능성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체내 깊숙이 숨은 박테리아도 초음파 메아리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암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미생물
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영상화 할 수도 있다”며 “
미생물
군집(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새 길을 연 것으로, 질병 진단 기술과 약물 전달 기술,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장내
미생물
이 피부암 치료에 도움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빠르게 성장했다. 이번 연구를 지도한 토마스 가예프스키 교수는 “이번 결과는
미생물
이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이끌어 내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향후 연구팀은 비피더스 균 같은 생균제가 면역 치료를 촉진할 수 있는지 임상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 ...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
과학동아
l
2018.01.05
활동을 하고 이를 보고서나 논문으로 작성하는 활동이다. 그는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때
미생물
을 이용한 연료전지에 관한 R&E를 진행했다. ‘‘이것밖에 없다’고 생각한 만큼 심혈을 기울였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한 마디로 실패였다. 교과 성적도 많이 떨어졌다. “열심히 노력한 만큼 ... ...
미생물
메아리로 질병의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확인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약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술로 다양한
미생물
이 장내에서 어떻게 생활하는지 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
모래 한 알에
미생물
10만 개
과학동아
l
2018.01.03
보이는 점들이
미생물
들이다. - MPIMM 제공 프로밴디트 연구원은 “모래에 붙어 있는
미생물
은 바닷물 속의 탄소와 질소화합물 등을 분해해 전 지구적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doi:10.1038/ismej.2017.19 ... ...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레이저를 이용해 제작을 시도한 연구팀도 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김 교수팀은
미생물
인 박테리아의 꼬리(편모)를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편모는 대장균이나, 식중독 균의 일종인 살모넬라 등 박테리아의 끝에 달린 추진 기관으로 채찍같이 긴 모습이 특징이다. 편모는 모터와 비슷하게 생긴 ... ...
[짬짜면 과학 교실] 숲이 우선일까? 나무가 우선일까?
2017.12.23
옷소매로 눈물을 훔치는 소리를 내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베여 쓰러진 나무들은
미생물
들의 양분이 되어 세월과 함께 천천히 분해되기도 하지만, 더러는 땔감으로 사용되고 더러는 목재로 쓰여 다양한 가구나 도구가 됩니다. 가구나 도구가 된 나무는 사람 손에 죽어서도 폐기될 때까지는 사람을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