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19건 검색되었습니다.
英연구진, 230만쌍 염기서열 한번에 해독…최장 기록 경신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읽을 수 있던 것은 제3세대 염기서열해독기술로 꼽히는 ‘나노포어(사진)’ 덕분이었다.
미생물
의 막에 존재하는 단백질 중에서 나노미터 크기의 구멍을 지닌 단백질을 이용해 DNA를 읽는 기술이다. 이 단백질에 DNA 가닥을 넣으면 구멍 내부의 분자가 DNA의 각 염기를 만나 제각각 다른 전기 신호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역시 박테리아가 만들어 식물이나 동물이 흡수한다. 사람의 경우 섭취한 음식이나 장내
미생물
에서 얻는다. 퀴에우인은 몇몇 전달RNA의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결핍될 경우 단백질 합성에 문제가 생긴다. 또 BH4라는 물질의 수치도 떨어지면서 세로토닌을 제대로 못 만들어 자폐나 조현병 등 정신질환에 ... ...
드론이 간다, 남극 펭귄 찾으러!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모양의 기기로, 총길이는 약 1.5m다. 이 기기는 유전자 조작을 해 오염물을 감지할 수 있는
미생물
을 일종의 ‘센서’로 장착하고 있다. 이 센서를 통해 수은 등 오염 상황을 파악한다. 만약 오염물이 감지되면 센서 내부의 효소가 빛을 발생시키고, 광측정기가 이를 감지해 경고를 보낸다. 아우케 ... ...
[표지로 읽는 과학]신생아 건강을 지키는 장내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0.28
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유식 등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가 점차 많아질수록 장내
미생물
의 다양성도 높아졌다. 자연 분만을 통해 태어난 아기의 경우 박테로이드 박테리아가 일시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또 형제자매나 애완견의 유무, 생활권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도 ... ...
정자왕을 꿈꾼다면 꼭 알아야할 상식
과학동아
l
2018.10.27
쥐가 낳은 쥐들은 비만인 경우가 많았고, 비알콜성지방간을 겪을 위험이 높았다. 또 장내
미생물
구성도 정상적인 먹이를 섭취한 쥐가 낳은 새끼들과 달랐다. 그렇다면 어떤 음식을 조심해야 할까. 이 교수는 “다수의 연구에서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이 정자의 개수와 정액의 양에 좋지 않은 영향을 ... ...
독도에서 신종
미생물
7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클루이베라 속
미생물
은 농업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신종
미생물
7종을 연구해 내년에 논문으로 발표한 뒤 연구자들에게 정보를 공개할 계획이다. ... ...
장내
미생물
로 면역치료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연구성과를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선정했다. 11월 에는 세계 전문가들과 함께 장내
미생물
을 신약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는 공개 토론을 페이스북을 통해 생중계한다고 밝혔다 ... ...
정자는 젤리에서 어떻게 ‘수영’할까?
과학동아
l
2018.10.11
헤엄치는 물고기는 관성력을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다. 하지만 정자나 박테리아 등
미생물
은 관성력보다 점성이 훨씬 큰 유체에서 헤엄치기 때문에 물에서와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헤엄쳐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가령 정자는 자궁경부의 점액 속을 헤엄칠 때 긴 꼬리를 스프링처럼 튕기며 ... ...
장내
미생물
의 ‘짜릿한’ 비밀
과학동아
l
2018.10.10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분자세포생물학부 교수팀은 설사를 일으키는
미생물
인 리스테리아균(Listeria monocytogenes)이 전기를 생산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9월 12일자에 발표했다. 그동안 전기를 생산하는 세균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전기 생산 세균이 ... ...
토마토도 프로바이오틱스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적용할 수 있는 친환경
미생물
농약이나 비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생물
을 직접 식물 주변에 이식해 풋마름병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곽 연구원은 “농업 손실을 줄여 기초 연구가 실제 산업 분야에 활용되는 좋은 사례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