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19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 땅속에서 말라리아 치료 해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않아 새로운 말라리아 치료물질로 적합다고 평가했다. 안종석 단장은 “국내 고유
미생물
자원 활용해 천연물 혁신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물질을 찾았다”며 “울릉도 토양 뿐 아니라 국내 생물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계속 발굴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
'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역할을 하는 셈이다. 안종석 항암 물질연구단장은 "울릉도 토양으로부터 희귀
미생물
을 분리해 신규 이차 대사산물을 뽑아낸 것"이라며 "국내 중요한 자원으로서 울릉도 토양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는 성과"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 ...
UNIST에 동물똥 쓰는 연료전지 발전소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이 가스를 사용해 SOFC 시스템을 돌릴 계획이다. 바이오가스는 하수나 동물의 분변에서
미생물
을 이용해 분해할때 발생하는 수소나 메탄(CH4) 등의 가스다. 화석연료인 천연가스 대신 우리 주변에 있는 자원을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물론 바이오 가스에도 탄소가 함유돼 있기때문에, 발전시 ... ...
"나라면 샤워 안한다" 샤워기 헤드에 박테리아 득실
과학동아
l
2018.12.05
물이 자주 흐르기 때문에 청결할 것이라고 오해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양한
미생물
이 엉겨 붙어 생물막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안에 폐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도 들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매튜 게버트 미국 콜라라도대 환경연구기관 CIRES 연구원팀은 미국과 유럽에서 656가구의 ... ...
‘혐기성
미생물
’의 약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산소의 역할을 대신하는 존재를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며 “질병을 일으키는 다양한
미생물
은 물론 재선충, 사상충 등 각종 기생충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도 핵심정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9일자에 게재됐다. ... ...
지하 1.8m 아래 무기질층 탄소 붙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제공 토양의
미생물
과 동·식물에서 발생하는 탄소화합물인 '유기 탄소'는 대기로 빠져나와 지구 온난화를 가중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지상에서 발생하는 유기 탄소의 순환과정을 밝히는 일은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다. 최근 지상에서 발생한 유기 탄소의 25%가 ... ...
억만장자 빌 게이츠와 리처드 브랜슨은 왜 인공고기 사업에 투자했나
과학동아
l
2018.11.24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근육세포는 목표량과 배지 조성 방법 등에서 일반
미생물
배양과 다르기 때문에 가장 최적화된 방법을 찾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 책임연구원은 또 “(모사 미트, 멤피스 미트 같은) 해외 기업들은 현재 실험실 수준을 넘어 대량 생산에 조금 못 미치는 ... ...
곰팡이로 오해받는 김치 표면막 정체는 '독성 없는 효모'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것이 안전하다"고 덧붙였다. 김치연은 김치 골마지 유발 효모에 대한 유전정보를 김치
미생물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에 공개했다. 또 동물실험을 통한 독성평가 등 이들의 안전성 및 생성 방지에 대한 추가 연구도 수행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0월 학술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경력의 마지막 장은 아마도 가장 창조적이었을 것이다. 2012년 그는 포스텍에서 IBS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장이 됐다. 이곳에서 그는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세계의 많은 실험실이 무균 설비를 갖고 있지만, 찰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세계에서 유일한 무항원 생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 ...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장에 조진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운영위원과 운영위원장, 학회 부회장 등을 맡았다. 그는 현 회장인 이명철 충남대
미생물
분자생명과학 교수와 내년도 회장으로 선임된 서영준 서울대 약학과 교수의 뒤를 이어 2020년 1월부터 1년간 회장직을 수행할 예정이다. 1989년 설립된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회원수 1만4100명으로, 한국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