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스페셜
"
책
"(으)로 총 1,1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and Fiction in the History of Scientific Discovery(기막힌 과학: 과학발견사의 진실과 허구)’라는
책
으로 아쉽게도 번역돼 있지 않다. 다른 하나는 2003년 학술지 ‘과학교육’에 실린 미국 미네소타과학철학센터 더글러스 알친 교수의 논문으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 논문은 ‘과학적 신화-개념(Scientific Myth ... ...
[채널A] 눈앞에 날파리가 어른어른…‘비문증’ 방치하면 위험
채널A
l
2013.10.04
[인터뷰 : 이계재/50세, 비문증 환자] 파리나 모기가 눈앞에 둥둥 떠 있는 느낌이 듭니다.
책
읽다가 갑자기 모기잡아야겠다 손을 뻗기도 하고요. 비문증 환자는 2008년 11만 명에서 지난해 17만 명으로 매년 8.8%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이들 5명 중 1명은 심각한 망막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나온다. 역자가 독문학자라 crystal을 결정이 아니라 수정으로 오역하기는 했지만(사실 이
책
을 번역한 것만으로도 경이로운 일이다), 읽어보면 저자가 자신의 결과가 실험으로 입증될 것을 기대하지 않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즉 “솔직히 말해서 G플롯(호프스태터 나비의 원래 이름이다)이 어떤 ... ...
하루키의 귀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5
이구동성으로 아쉬워하기 때문이다.
책
은 인간이 문화적으로 성장시키는 출발점이다.
책
만드는 일은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화산업이기도 하다. 정부가 말하는 창조경제는 그래서 출판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공제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동향 8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서번트 증후군, 놀라운 기억력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베티 에드워즈 미국 LA 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는 1989년 출간해 100만 부가 넘게 팔린
책
‘오른쪽 두뇌로 그림 그리기’에서 사람들이 그림을 잘 못 그리는 건 우뇌의 묘사력을 억제하는 좌뇌의 추상화 성향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즉 좌뇌는 대상을 개념화하려고 하기 때문에 디테일을 무시하고 ... ...
헨리에타 랙스, 죽고 나서야 전 세계를 여행한 여인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인식의 변화를 일으키는 데는 2010년 출간된 레베카 스클루트의
책
‘헨리에타 랙스의 불멸의 삶’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음은 물론이다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실제로 농업의 발명으로 곡물을 먹기 시작하면서 인류가 건강을 망쳤다는
책
이 나오기도 했다. 아무튼 진화적으로 적합한 고기를 즐기지 않는 필자로서는 어차피 진화적으로 부적응 상태이므로 다시 우유를 마시고 있다. 그런데 어찌보면 그 일본 의사의 주장대로 정말 어른들은 우유를 ... ...
기술혁신으로 본 새로운 기회 탐색
KOITA
l
2013.07.26
높이는 방안이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E. von Weizsacke은 그의
책
‘5배, factor five' 라는
책
을 통해 자원생산성을 80% 이상 증가 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이는 환경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음이 가능함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자원희소성이 어제 오늘의 주제가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성공한다. 1869년까지 실컷 돌아다니다 온 그는 ‘우수리 지역 여행’이라는 탐사일지를
책
으로 펴내기도 했다. 그 뒤 네 차례에 걸쳐 한 번에 2~3년 걸리는 중앙아시아 탐사여행을 하면서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여러 동식물을 발견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몽골에서 발견한 야생말이다. 우리가 흔히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묘사하고 있다. 평소 개인의 노력은 시스템을 바꿀 수 없다는 비관론에 젖어있는 필자가
책
을 읽으며 감동한 이유다. “지금 해줄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은 걸 만들기 전까지는 병원으로 돌아오지 않겠다”던 드러커는 보기 좋게 약속을 지켰고 지금은 이 대학 부설 나이트암연구소의 소장으로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