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스페셜
"
책
"(으)로 총 1,1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역사] 입 밖으로 나온 소리, 녹음 기술로 주워 담는다
KISTI
l
2014.12.08
사람이 있다. 프랑스의 인쇄업자 에두아르 레옹 드 마르탱빌(Edouard-Leon de Martinville)이다.
책
을 만지는 직업 덕분에 최신 과학기술에 대한 정보를 빨리 얻었던 마르탱빌은 ‘포노토그라프(phonautographe)’라는 발명품으로 1857년 3월 25일 프랑스 특허를 획득했다. 소리(phon)를 스스로(auto) 기록한다(graphe)는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미디어와 많은 연구자들이 심각하게 받아들였고” 그 결과 “정
책
결정에도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여겨지기 시작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오늘날 상황을 설명했다. 실제로 미디어의 반응은 해당 연구의 앞날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프로젝트 연구비 지원 여부를 결정할 때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과학동아’ 기자로 일하던 9년 전인 2005년 1월, 한참 2월호 기사를 준비하고 있는데 편집장이 부르더니 3월호 특집으로 ‘디자인의 과학’을 생각해보라고 통보했다. ... 출간했다고 한다. 의자라는 살인무기에 둘러싸여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한번 읽어볼만한
책
이라는 생각이 든다. ... ...
K-POP 부럽지 않은 K-문학의 약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걸맞은 번역의 질을 확보해야 K-문학은 지속 가능성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외국의
책
방에서 한국문학 작품을 자연스럽게 만나는 풍경이나 외국친구에게 번역된 한국 문학작품을 선물하는 풍경을 상상해보자. 생각만 해도 마음이 뿌듯하다.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며칠 전 한 술자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사정이 있어 늦게 오게 된 한 분이 대형마트에 들러 안주용 생선회를 사다가 문득 지난 모임에서 마신 와인 생각이 났단다. ‘ ... 이제 그만 노트북을 덮고 커피 한 잔을 내려 음미하며 이선희 씨의 명곡 ‘추억의
책
장을 넘기면’을 음미해야겠다.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미치는 영향은 좀 더 커서 한 달에 평균 23.8그램 더 살이 붙는다. 블레이저 교수는
책
에서 “사람들은 사춘기를 가장 키가 크는 시기로 알고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생후 2년 6개월까지가 그 사람의 키를 결정하는 결정적인 시기”라며 쓰고 있다. 즉 이 시기에 항생제에 노출될 경우 그 영향이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지난주 한국유방암학회가 발표한 ‘한국인 유방암의 국내외 최근 현황’ 보고서 소식에 여성들, 특히 젊은 여성들은 기분 ... 정
책
입안자들도
책
을 읽어볼 것을 권하고 있다. 우리나라 보건당국자나 정
책
입안자들도 이
책
을 구해 읽어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 ...
운명이 나를 IBS로 이끌었다
IBS
l
2014.10.13
과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지난해 11월 전 직장에서 퇴사하고 여유가 생겨 과학 관련
책
을 읽으며 기회가 되면 공부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그러다 취업 사이트에서 '기초과학연구원'이라는 7자를 발견하곤 고민 없이 지원을 결심했다. 김봉재 씨는 9년을 플랜트 설계를 해 왔던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하는 또 다른 사과 종이 있었으니 바로 ‘말루스 아시아티카(Malus asiatica)’다.
책
에 따르면 중국인들은 말루스 아시아티카를 ‘林檎(림금 -> 능금)’이라고 불렀고 말루스 푸밀라를 ‘柰(내)’라고 불렀다. 이렇게 한반도에는 두 가지 종의 사과가 있었지만 토종인 말루스 아시아티카가 더 흔했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마음이 편하다. ●화석 시료 오염이 오류의 원인 ‘지식의 반감기’란 멋진 제목의
책
을 읽다보니 문득 지난달 ‘네이처’(8월 21일자)에 실린 한 논문이 생각났다. 탄소14(14C)의 반감기를 이용한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을 개선해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시기를 추정한 연구결과다. 새로운 결과는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