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스페셜
"
책
"(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 사람마다 목소리가 두 개인 이유?!
KISTI
l
2015.10.27
어렵지 않아.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은 자신에게 적당한 톤으로 노래를 흥얼거리거나
책
을 소리 내서 읽는 습관을 들이면 된단다. 또 코로 숨을 쉬며 매일 30분 이상 걷거나 소리를 크게 내 웃는 것도 도움이 되지. 성대 점막을 건조하게 하는 음주나 흡연은 당연히 금물! 그리고 무엇보다 복식 호흡이 ... ...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정신력이 ‘엄청나게’ 강한 사람을 뽑아야 한다. 그러고 보면 영화 ‘마션’에서 대
책
없는 낙천주의자로 나오는 ‘화성의 로빈슨 크루소’ 마크나 리더십의 화신인 탐사대장 멜리사의 카리스마는 영화의 설정만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로 영화에서 탐사대원 여섯 명의 성별이 여성 ... ...
내 맘 같지 않은 내 몸, 뚜렛 장애
KISTI
l
2015.10.18
틱이 장점이 될 수도 있다. 컬럼비아 대학교 신경정신과 올리버 색스 교수는 그의
책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에서 충동성과 불규칙한 틱을 이용해 드럼을 탁월하게 연주하던 ‘레이’를 소개한 바 있다. 뚜렛 장애 운동선수도 제법 있다. 올해 여름 브라질 월드컵에서 놀라운 선방으로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개발의 역사를 잠깐 돌아보자. 수천 년(기록만 따져서) 동안 말라리아에 속수무
책
으로 당하던 구대륙의 사람들은 남아메리카 주민들이 키나라는 나무의 껍질을 열병의 치료제로 이용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됐다. 그 뒤 프랑스 화학자들이 키나 껍질에서 유효성분을 분리해냈는데, 이게 바로 ... ...
야생 침팬지의 냉장고를 부탁해
KISTI
l
2015.09.01
궁금해진다. 랭엄 교수는 10년이 넘는 증거 수집 끝에 2009년 요리의 중요성을 담은
책
‘요리 본능(Catching Fire)’을 펴냈다. 날것을 그대로 먹는 생식이 몸에 좋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 전 세계에서 수렵채집 민족으로 살아가는 부족 중에서 생식을 하는 사례는 전혀 발견할 수 없다. 랭엄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이 시점을 기준으로 효모가 발효를 주도하는 미생물임이 공인됐다고 보고 있다. 물론 이
책
이 나온 뒤에도 일부 과학자들은 발효가 여전히 순수한 화학적 과정이라고 주장했고 19세기 말에 가서야, 즉 이런 사람들이 다 죽고 나서야 논쟁이 끝났다. 개도 그렇지만 빵효모도 게놈이 해독된 뒤 ... ...
전염병의 제왕, 천연두를 박멸하기까지
KISTI
l
2015.08.11
박영선은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오면서 우두종두법에 대한 이라는
책
을 가져와, 이를 토대로 제자들에게 강의했다. 지석영도 그 제자들 중에 한 명이었다. 을 읽고 강의를 들었지만 부족하다고 느낀 지석영은 20일을 걸어서 부산으로 내려갔다. 부산의 한 의원의 군의관이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대화를 촉진시키기를 바란다”며 글을 마쳤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회칙에서 “해결
책
에 이르는 길이 하나일 수는 없다”며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 정직한 논쟁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수년 전 교과서 진화론 논란을 취재하며 종교의 맹목성과 독선을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쪽짜리 논문을 보고 경악했지만 마음을 가다듬고 80쪽에 이르는 논문을 완성했다. CERN의
책
임자는 겔만의 논문이 실린 CERN의 저널 ‘피직스레터스’에 내라고 제안했지만, 야심만만했던 츠바이크는 최고 저널인 ‘피지컬리뷰’에 보냈다. 선배 물리학자들의 우려대로 논문은 심사위원들의 거센 ... ...
[LIGHT] 꿀잠을 위한 간단 팁, 깜깜하게 자라!
KISTI
l
2015.07.14
피곤한 하루를 마친 현대인들은 불을 끄지 않은 채 자는 경우가 많다. 그냥 자기 아쉬워
책
이나 TV를 보려고 노력하지만, 피곤함에 나도 모르게 잠이 들어버리기 때문이다. 이렇게 불을 켜놓고 잠들면 새벽에 한 번씩 깬다. 아침에 일어나도 잔 것 같지가 않고 피곤하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렇게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