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스페셜
"
책
"(으)로 총 1,15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와 해양에너지 지혜롭게 개발해서 현명하게 쓰자 2부
KIMST
l
2013.05.03
제때에 업계에 보급 하고, 해양에너지 개발 사업을 위해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정
책
을 수립하고 공정하게 집행하면 시장은 점차 커지며 산업 은 활성화될 것이다. 그리고 산업 활성화에 따라 기술개발에 재투자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것이다. 2009년 울돌목 시험조류발전소가 준공되고 지난 해 ... ...
해양바이오에너지의 신세계에 도전하다
KIMST
l
2013.05.03
허버트 박사의 ‘피크 오일 이론’을 빌리지 않더라도, 현재 우리가 전 세계 에너지 정
책
의 대변혁기에 있음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모든 변화기는 ‘위기’와 ‘기회’를 동반 한다.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개발에 더 큰 힘을 쏟아 지금 이 대변혁기를 국가경쟁력 향상의 중요한 ‘기회’로 삼아야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밝힌 이번 연구결과는 이 글 앞에 인용한 소설가이자 미술비평가인 존 버거의
책
‘본다는 것의 의미’의 한 구절에 대한 과학적인 주석이라고 할 만하다. 로돕신 같은 빛수용체 분자 대부분은 옵신 단백질 안에 빛을 흡수하는 분자인 레티날(가운데 주황색 분자)이 결합된 상태다. 레티날 주변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사랑’의 경우는 과학자의 미련을 버리지 못한 과학저널리스트가 주인공이기까지 하다(
책
을 읽으며 필자가 얼마나 공감했는지!). 매큐언이 2010년 발표한 소설 ‘Solar(태양에너지)’는 50대의 물리학자 마이클 비어드가 주인공이다. ‘비어드-아인슈타인 융합 이론’으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물론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천문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도 알고 있는 상식인데 140억 년이라고 번역했다가는
책
에 대한 신뢰도만 떨어뜨릴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137억 년으로 고쳐놓고 보니 또 좀 찜찜하다. 저명한 물리학자가 우주 나이가 137억 년이라는 걸 모르고 140억 년이라고 썼을 리는 없지 않은가. 혹시 13 ... ...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마시는 방식이다. 그리스식 커피는 맛과 향이 상당히 강하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쿰머는
책
에서 이 커피의 이름을 부를 때 조심하라며 터키에서는 터키식 커피(Turkish coffee)라고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지중해 동부 여러 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즐겨 마시는 타입이라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그리스식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글의 맨 앞에 인용한 그의 말처럼 당시에는 이런 장치를 만들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즉
책
에 묘사된 건 양자역학의 법칙을 따르는 전자는 이런 현상을 보일 수밖에 없다는 파인만의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이다. ●나노기술로 장치 만들어 그런데 ‘물리학 강의’가 출판된 지 거의 반세기만에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Nutrition Science Initiative, NuSI)’을 설립해 이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그가 2010년 펴낸
책
‘Why we get fat’은 베스트셀러가 됐고 여전히 스테디셀러다(아마존 사이트를 보면 독자리뷰가 무려 650건이나 올라와 있다!). ‘앞으로 비만에 대해 글을 쓸 때는 조심해야겠구나.’ 토브스의 칼럼을 읽고 ‘과학은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뭉쳐진 덩어리로 폭발할 경우 흔적이 남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무튼 필자는 이
책
에서 퉁구스카 사건에 대한 묘사 부분을 번역할 때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궁금했는데 이번 러시아 유성체 폭발 현장을 영상으로 보면서 ‘그래 저거였구나!’ 하며 무릎을 쳤다. 끝으로 퉁구스카 사건을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DNA와 단백질 사이를 매개하는 RNA가 상당히 중요한 분자라는 점을 깨닫고 1967년 펴낸
책
‘The Genetic Code(유전암호)’에서 RNA가 DNA나 단백질이 나오기 전 있었던 원초적인 생체분자라고 추측했다. 훗날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유력한 이론인 ‘RNA 세계 가설’의 기본개념을 생각해낸 것이다. ‘RNA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