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1
- DNA를 추출해 미토콘드리아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현생인류도 네안데르탈인도 아닌 게놈서열이 나왔다는 연락을 받은 것. 깜짝 놀란 패보 박사는 이 사실을 데렌비안코에게 알렸고 러시아를 방문한다. 그리고 여기서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한 어금니를 건네받았다. 현생인류의 어금니보다 1. ... ...
- 이 독수리, 썩은 고기 먹고도 건강하답니다 과학동아 l2014.03.31
- 분석했다고 3월 31일 밝혔다. 연구진은 독수리 2마리에서 혈액 샘플을 채취해 DNA와 RNA 서열을 처음으로 해독하고 여기에서 독수리를 대표하는 유전자 20만 개를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연구관은 “독수리 보호에 있어 우리나라의 역할이 중요해진 시점에서 이번 ... ...
- 머리카락 한 가닥으로 범인 얼굴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4.03.23
-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SNP’는 인간이 갖고 있는 염기서열 30억 개 가운데 본인 고유의 특징을 결정짓는 극소수의 변이로, 사람들은 유전자가 99% 이상 동일하지만, 아주 작은 차이에 따라 인종, 생김새, 질병 여부 등 개인차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POLR1Da라는 유전자 변이체는 ... ...
- 생명활동의 주역 RNA ‘꼬리’ 정체 드러난다과학동아 l2014.03.19
- 총 2번 읽도록 했다. 그 결과, 꼬리의 길이를 정확히 파악했을 뿐 아니라 꼬리 말단의 서열까지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장혜식 박사는 “전령RNA의 꼬리는 원래 아데닌 200개 정도가 이어졌다고 예측됐는데 실제 측정 결과 60~70개로 훨씬 짧았고, 꼬리 말단에는 RNA를 구성하는 또 ... ...
- "나는야 6000살 먹은 물고기라네"과학동아 l2014.03.13
- 8.9%의 사이토크롬b 염기서열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어류종의 경우 통상 염기서열이 4% 이상 차이가 나면 미기록종이나 신종으로 분류된다. 연구팀은 이 어류가 빙하기가 끝난 뒤 해수면이 상승하기 시작한 약 6000년 전쯤 해수와 함께 동굴로 유입돼 지금까지 진화해 온 것으로 추정했다. 송 ... ...
- 과수 품종, 잎사귀 하나만 있으면 OK과학동아 l2014.03.13
- 6종, 복숭아 19종 등 총 82종을 판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를 개발했다. 분자마커는 DNA의 염기서열을 나타내 식물체의 유전적 차이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전자표지다. 이 분자마커를 이용하면 현재 전국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5종 과일 178품종에 대한 판별이 가능해진다. 특히 묘목에 잎이 ... ...
- 원하는 곳만 콕 집어 ‘싹뚝’…유전자가위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4.03.09
- 바로 카스9다. 그리고 이들 염기쌍 중에서 노란색으로 반짝이는 곳이 바로 DNA의 짧은 염기서열인 ‘PAM’이다. 연구팀은 카스9-가이드RNA 복합체가 DNA를 찾기 전에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관찰한 결과, DNA의 짧은 염기쌍인 PAM 농도에 따라 가이드RNA와의 결합여부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 ...
- 바코드 찍듯 암·신종플루 찾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14.03.05
- 쉽게 검출 할 수 있다”며 “바코드 DNA에는 수백~수천 개의 miRNA를 감지할 수 있는 DNA 염기서열이 집약될 수 있어 신종플루나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박테리아의 조기진단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 달 26일 ... ...
- 1년 내 유행할 독감 바이러스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14.03.02
- 게재했다. 연구진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에 붙은 해마글루티닌 단백질의 염기서열 3944개의 유형을 분석했다. 해마글루티닌은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단백질로 H5N1처럼 인플루엔자 유형을 분류할 때 ‘H’에 해당된다. 또 바이러스 유형이 분기할 때 인체에 해로운 돌연변이와 해롭지 않은 ... ...
- 남아가 여아보다 자폐증이 많은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4.03.02
- 남성에게서 더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크문트 교수는 “분자수준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남아와 여아의 발달 차이를 알아낸 최초의 연구결과”라며 “여성에게 발달장애를 막는 보호기작이 있다는 학계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