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다만, 존재하는 물의 양은 일반적인 태양계 행성의 100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반면 소듐, 포타슘 등 무기 원소의 비율은 외계행성이 태양계 행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외계행성이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른 방식으로 형성됐을 ...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장 큰 동물은 대왕고래다. 수염고래류에 속하는 대왕고래의 몸길이는 30m, 몸무게는 100t(톤)에 이른다. 육상동물 중 가장 큰 코끼리(몸길이 5~7m)의 4배가 넘는다. 대왕고래가 이같이 큰 몸집을 가지게 된 이유는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다. 그런데 최근 국제공동연구팀이 고래의 먹이 사냥 패턴을 분석해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등은 최소 10만 명 이상을 질식시킬 수 있는 양으로 추정된다. 분화와 함께 화산가스가 50~100km 근방으로 퍼지면 1시간 안에 10만 명이 숨질 수 있다.2015년 윤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밀레니엄 대분화가 재연될 경우 화쇄류가 최대 23.4km까지 퍼지고, 화산재가 남한까지 도달할 것으로 ... ...
- 1920-2020 로봇 레볼루션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예측한다. ▼더 많은 기사를 보려면?Intro. 1920-2020 로봇 레볼루션Part 1. 로봇 혁명 100년의 히스토리Part 2. 한국 로봇 기술의 최전선에 가다Part 3. 2040년 로봇을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 로봇 기술의 종합선물세트, 휴머노이드 “아시모(ASIMO)가 세상에 등장한 순간 망치로 머리를 한 대 맞은 것 같았죠.”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인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한국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휴보(HUBO)를 개발한 계기가 일본이 출시한 아시모 때문이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노이즈 캔슬링 효과가 좋다. 예를 들어 송풍기에서 나오는 소음의 진동수에 해당하는 100Hz(헤르츠) 파동은 파장이 약 3.5m여서 DSP가 역파동을 만들어낼 시간에 2.5ms가 추가된다. 일반적으로 4분의 1 파장 이전에 역파동이 산출되면 사람은 소음이 줄어들었다고 느끼기 때문에 3.5m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울리야놉스크에서 우리나라 김해국제공항까지는 러시아의 수송기인 안토노프(AN-124-100)로 날랐다. 안토노프는 군용 화물을 선적하고 하역하기 위해 개발된 수송기로 비행기 꼬리 부분을 마치 뚜껑처럼 여닫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군용전차나 전투기 등을 최대 150t까지 실을 수 있다. ...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소개해도 될까요? 휴머노이드야말로 앞으로 로봇 100년을 이끌어갈 든든한 맏형이죠. 공장과 식당 등에서 쓰이는 로봇팔이 저에게서 나온 것을 모두 알고 있겠죠? 엣헴! 최근 연구를 보고 저와 로봇팔이 얼마나 정교해질지 상상해 보세요! 새로운 동작 어려워하는 로봇, 해결 방법은?지난해 9월 ... ...
- 할머니 범고래 없인 못 살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수명이 꽤 달라. 수컷은 30년 정도밖에 못사는 반면, 암컷은 30~40살까지 출산을 하고, 이후 100살 무렵까지 살 거든. 하지만, 사람과 비슷한 점도 있어. 보통 동물들은 죽기 전까지 새끼를 낳고 살잖아. 하지만 범고래, 들쇠고래 등 일부 이빨을 가진 고래는 사람처럼 수명이 남아있어도 생식 능력을 잃는 ... ...
- [한페이지 뉴스] 진공인데 열에너지가 전달되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장시양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10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질화규소에 75nm 두께의 금을 코팅한 멤브레인(막) 두 개를 준비하고, 두 막을 진공에서 1200nm 거리에 배치했다. 그리고 막 하나를 가열해 온도가 25도가량 차이나게 만든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