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팩트체크] 비 오는 날 전기차 충전해도 될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채우기 때문에 계산한 값보다 비용이 좀 덜 들 수 있습니다.결과적으로 현재 상황에서 100km 주행에 필요한 연료비 기준으로는 전기차, 디젤차, 수소차, 가솔린차 순으로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전기차의 경우 충전 보조금을 없앤다는 얘기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이 경우 충전 요금이 최대 4~ ...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위해 딥러닝을 도입했습니다. 이전 영화에서는 이런 촬영할 때 배우의 얼굴에 표시한 100~150개 정도의 점을 카메라로 인식한 뒤 공간좌표로 변환해 얼굴을 대략적으로 표현했죠. 그런 뒤 컴퓨터그래픽 아티스트가 표정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방식이었습니다.하지만 마블 스튜디오는 다양한 감정을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구골(googol)’과 ‘구골플렉스(googol plex)’라는 단위를 만들었다. 구골은 10을 100번 곱한 수(10100), 구골플렉스는 10을 ‘구골’ 번 곱한 수(1010100)다.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포털 사이트 ‘구글’의 원래 이름은 ‘구골’이었다. 광대한 정보를 모두 담겠다는 의미였다. 그러나 실수로 ‘구 ...
- 화이트데이엔 직접 키운 ‘락캔디’로~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특히 설탕은 온도에 따른 용해도 차이가 커서 온도가 100도인 물 100g엔 설탕을 476g이나 녹일 수 있습니다. 설탕물 온도가 다시 25도가 되면 녹일 수 있는 207g을 제외한 269g은 결정이 돼 나옵니다. 2단계 결정핵 막대 넣기 (Tip: 결정핵이 벽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세요)과포화된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만들어져야 합니다. 비말 핵은 비말을 덮고 있는 물기가 말라서 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가벼운 덩어리로 바뀐 것을 말합니다. 공기 감염은 엄밀하게는 비말 핵 감염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이 비말 핵에 붙어 공기 중을 떠다니다가 다른 사람을 감염시킵니다. 비말 감염에 비해 ...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하는 삼원색의 파장을 빨간색 630nm, 초록색 532nm, 파란색 467nm로 정해놓고, 이 기준에 100% 도달하기 위해 연구개발을 거듭하고 있다.디스플레이의 삼원색 구현에서 또 하나의 관심사는 앞서 말했듯 세 가지 빛에 여러 색이 뒤섞여 있는 문제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가령 빨간색으로 630nm 파장을 만든다는 ... ...
- 무증상 감염, 슈퍼전파… 악재 겹친 코로나19 효과적인 방역 대책은?수학동아 l2020년 03호
- 강하게 전파되는 코로나19, 효과적인 방역 대책을 알아본다. 2020년 2월 21일, 하루 새에 100명의 추가 확진자가 발생했다. 코로나19가 한국에 들어온 이래 가장 많은 수의 신규 확진자다. 사흘 전인 18일, 감염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여러 공공시설을 방문한 확진자(31번째 환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해양에 있는 엽록소를 가진 생물을 이전에는 10종류로 나눠 관측할 수 있었다면 이제는 100종류로 더 세밀하게 나눠서 볼 수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해양탑재체는 프랑스, 캐나다 등과 공동개발했지만 핵심 기술은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특히 해양탑재체는 정확한 관측을 위해 주기적으로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영향을 받는다. 구조단백질의 일종인 콜라겐은 고기의 근원섬유에 비해 인장강도가 100배 가량 높다. 따라서 콜라겐의 함량이 높은 고기는 상대적으로 질기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고기에 포함된 지방산의 종류도 조직감에 영향을 미친다. 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으로 나눌 수 있다. ...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말했다. 지열의 경우 주택의 냉난방에 활용하기에 안성맞춤이지만, 기술적으로 지하 100m 깊이까지 파고 내려가야 온도가 15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물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이미 지어진 건축물에 지열 설비를 추가로 설치하기가 어렵다. 풍력발전은 바람이 적은 지역에서는 효과가 없고,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