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Innova Market Insights)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전 세계 육류 생산량은 돼지고기 1억1100만t(톤), 가금류 9050만t, 소고기 6130만t 등 총 2억6280만t에 달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 2018년의 육류산업 규모는 약 1001조1293억 원이며, 대체육류 시장 규모는 약 5조64억 원 수준으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노이즈 캔슬링 효과가 좋다. 예를 들어 송풍기에서 나오는 소음의 진동수에 해당하는 100Hz(헤르츠) 파동은 파장이 약 3.5m여서 DSP가 역파동을 만들어낼 시간에 2.5ms가 추가된다. 일반적으로 4분의 1 파장 이전에 역파동이 산출되면 사람은 소음이 줄어들었다고 느끼기 때문에 3.5m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 ...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줄 때 혼자 이용량이 늘자 자연스럽게 순위가 높아졌고, 한번 순위권에 진입한 뒤에는 TOP100 차트를 듣는 고객층 때문에 순위가 쉽게 유지됐다. 이런 특수한 그래프의 양상이 한 번이 아니라 새벽 시간대마다 지속적으로 나타나자 대중들은 실시간 그래프를 캡처해 공유하며 사재기 의혹을 제기했다 ...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사회에서 ‘상변화’가 일어나는 순간이다.문턱값은 자연현상에도 적용된다. 물은 온도 100도라는 문턱값을 넘어서면 수증기로 바뀌는 상변화가 일어나고, 지구 중력에서 벗어나려는 로켓도 문턱값(중력탈출속도)을 넘어서야 우주라는 상변화를 경험한다. 문턱값은 사회에서도, 과학에서도 ... ...
-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만큼 왕성한 번식력으로 악명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Q 왕우렁이가 세계 최악의 100대 외래침입종이라고요? 왕우렁이는 사과우렁이과의 연체동물로 1983년 식용으로 정부 승인을 받아 일본에서 우리나라에 수입됐어요. 그러다 식욕이 좋아 논의 잡초를 잘 없앤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1990년 ...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자기소개를 부탁해!반가워, 하하하! 나는 대왕고래야. 흰수염고래라고도 해. 우리는 약 100년 이상 살아. 붓질한 듯한 잔무늬, 청회색의 몸. 멋지지 않니? 후후, 더 멋진 건 우리가 지구에서 가장 큰 동물이라는 거야. 몸길이는 최대 33m고 몸무게는 최대 180t이거든. 뭘 먹는데 그렇게 크냐고? 딱히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문제여러분은 다음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할 건가요? 브레이크가 고장 난 기차가 시속 100km로 달리고 있어요. 달리던 방향에는 5명이 일하고 있고, 옆 선로에는 1명이 일하고 있지요. 선로를 바꿀 건가요? 대답하기 참 곤란하지요? 이 질문은 1967년 영국의 철학자 필리파 루스 풋 박사가 고안한 사고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현재까지 2만 5000종이 넘는 선충이 발견되었지만, 과학자들은 지구상에 약 100만 종에 달하는 선충이 있으리라 추측하고 있어요. 오늘 지구사랑탐사대가 인천 앞바다의 섬인 신도로 가는 이유도 혹시 섬에 살고 있을지 모르는 신종 선충을 찾아보기 위해서지요.이 조그만 선충은 사실 생물학계의 ...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어디가 아프신 거예요?”“의사 양반이 그러더군. 비타민D가 부족하다고…. 비타민D가 부족하면 뼈가 약해진다나. 이젠 손가락을 움직일 힘조차 없네. 입만 살 ... : 운동하는 물체가 지니는 에너지.* 나노 :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말. 나노 입자는 표면적이 1~100m의 10억분의 1인 입자다 ... ...
- [과학뉴스] 눈 깜빡할 새 벌레 잡는 카멜레온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만들어진 소프트 로봇이에요. 원래 길이의 5배까지 늘어날 수 있으며 자신의 무게보다 100배 되는 것까지 들어올릴 수 있지요. 이 로봇 안엔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어요. 공기가 들어가면 펴졌다가 공기가 빠지면 접히지요. 마티네스 교수팀이 개발한 소프트 로봇은 폴리머의 탄성력 때문에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