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METAVERSE] 현실에선 부자인 내가 이세계에선 상거지?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로블록스 메이킹을 교육하고 있어. 메타버스 플랫폼인 로블록스의 가장 큰 장점은 누구나 게임 제작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이야. 게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요소와 공간을 어느 정도 제공해주니까. 여기에 이야기를 녹여내고, 디자인을 얹히면 그럴듯한 게임이 만들어져. 어느 정도 숙련된다면 한 달 ... ...
- [특집] 우주로 향하는 거대 거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1개와 비슷한 성능을 낼 수 있어요. 원은 둘레의 길이가 같은 도형 중에서 가장 넓이가 큰 도형이지요. 거대 마젤란 망원경을 만드는 일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천문연구원의 이호규 선임연구원은 “거울의 재료를 틀에 붓고 뜨겁게 녹인 후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며 모양을 만드는데, 이때 원 모양으로 ... ...
- [이슈2] 이게 머선129! 내가 말한 단어가 수학이라니!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이용하면 아주 큰 수와 아주 작은 수를 표현할 수 있는데요, 10을 거듭해서 곱하면 아주 큰 수를, 1/10을 거듭해서 곱하면 아주 작은 수를 만들 수 있어요. 순식은 (1/10)16만큼 작은 수예요. 은 0.1과 같기 때문에 (1/10)16은 0.0000000000000001로 쓸 수 있지요. 하지만 대장 미어캣에게도 할 말은 있 ...
- [특집] 호랑이를 보고 배울 수 있는 곳 에버랜드 타이거밸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이원영 사육사는 “동물원은 호랑이를 알아갈 수 있는 콘텐츠가 많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라며 “눈으로 직접 호랑이를 보고, 옆에서 사육사가 호랑이의 생태와 습성을 설명해주기 때문에 호랑이를 더 잘 알게 되고 좋아하는 계기가 된다”고 설명했어요. ●인터뷰이원영(에버랜드 타이거밸리 ... ...
- [기획] 눈치 싸움에서 찾은 내시 균형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바꾸지 않는 균형 상태를 말해. 둘 다 뒤로 처지는 전략을 선택하면, 결국 둘 다 가장 큰 손해를 보기 때문에 한 사람은 앞으로 나가는 상태가 유지된다는 거야. 실제 경기의 양상은 이보다 복잡해. 선수 수도 많고, 선두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도 제각기 다르고, 같은 국가 소속 선수끼리 ... ...
- [핫이슈] 자가복제 하는 로봇의 탄생, 제노봇수학동아 l2022년 02호
- 그렇다면 제노봇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연구팀은 의료 분야나 환경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어요. 많은 과학자가 혈관 속에서 움직일 정도로 크기가 아주 작으면서도 몸에 해를 끼치지 않는 초소형 로봇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거든요. 대표적으로 나노 단위 크기의 ... ...
- [폴리매스 미궁] 난관에 빠진 티티르와 소녀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난 조그만 창문 밖에서 인기척이 들리더니 쪽지 한 장이 펄럭이며 떨어진다. 쪽지에는 ‘큰 소리가 나면 다음을 향해 뛰어라’라는 말과 함께 문제가 적혀 있다. 티티르가 문제를 보여주자 멍하니 있던 소녀도 관심을 보인다. 지난 줄거리 : 기후 변화로 지구가 사막화되고 문명이 몰락한 미래.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의사도 데이터 공부 필수인 시대 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기대하진 않는다”며 “그래도 반복적으로 자문하다 보면 서서히 반영되며 정책의 큰 흐름을 분명히 바꿀 수 있어 보람 있다”고 말했다.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공개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인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이 대표적이다. 2016년 시작할 때엔 작은 ... ...
- [CES 2022 현장 리포트] “미래는 공존을 택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가능케 할 기술로 꼽힌다.CES 2022는 지난해와 비교해 우주기술과 푸드테크, 대체불가토큰(NFT) 등 분야 가 새롭게 추가되며 관련 전시가 크게 늘었다. 코로나19 시대에 중요성이 높아진 디지털 헬스케어 등 우리의 건강한 삶을 앞당길 기술도 성황을 이뤘다. 혁신이 바꿀 사회, 기술이 바꿀 인류이번 ... ...
- [SF소설] 마지막 인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없으시고요.”“요새는 꿈에서 자꾸 옛날 가족이 보여. 잠자듯이 죽을 수 있다면 참 큰 행운일 거야. 그렇지 않니?”“그런 질문은 제가 곤란해하는 거 아시잖아요.”인공지능이 죽음을 이해할 수 있을까. 이해하는 척은 할 수 있다는 게 최근의 결론이다. 그리고 이해하는 척을 안 하는 편이 낫다는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