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수치를 기록한다. 자기장이 주어졌을 때 물질이 자성을 띠는 정도인 대자율(자화율)을 측정하는 것이다. 돌의 기원과 생성 환경에 따라 자성이 다르기 때문에, 오름이 분출한 용암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정보다.이진영 책임연구원은 매의 눈을 가진 ‘호크아이’를 닮았다. 지질도와 손목에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절대 간섭하지 않고 최소한의 비침습적인 탐사만을 할 수 있었는데 바위로 위장한 측정장치는 그 기준에서 벗어나 있었다. 때문에 비밀리에 회수하는 것이었다.뎀베는 반대로 장이 꼬일 것 같은 압박감을 느꼈다. 들킬까 봐 두려워서가 아니었다. 불법 조사로 인해 이 행성이 멸망했을 가능성을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수학적으로 정의한 최초의 색의 기준이었습니다. 현재까지도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색 측정의 기본입니다.색공간★ 색을 3차원 공간에 좌표로 나타낸 개념이다.CIE1931 색공간은 ‘색대응 실험’을 통해 만들었어요. 이 실험은 사람의 시각을 기준으로 R(빨강), G(초록), B(파랑) 세 가지 색만 있으면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결과, 두 해의 전체 데이터의 약 7%가 밝은 밤에 해당했다.아마도 지상에서는 위성이 측정한 것보다 훨씬 적은 빈도로 밝은 밤이 나타났을 것이다. 대기광을 지상에서 보려면 하늘이 맑고 달빛이 없어야 하는 데다, 7%라는 수치는 전체 지구에서 계산한 값이기 때문에 특정 장소에 밝은 밤이 나타날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상황이다. 정밀하게 측정하려면 센서를 작게 만들어야 하는데, 센서가 작으면 그만큼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과 만날 확률이 줄어들어서 검출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인위적으로 물질 농도를 높이지 않으면 지름이 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단위인 센서에 물질이 검출되기까지는 몇 ... ...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방식에 비해 흡연은 DNA 메틸화가 원래 상태로 잘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된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그날’의 사건을 해독한다 新 DNA 과학수사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Part ... ...
- [과학뉴스] 양의 눈을 바라봐 난 괴로워지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그러나 이 척도를 사용할 수 있게 사람들을 교육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고, 개인별로 측정점수의 차이가 커서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연구팀은 양 고통 표정 척도를 인공지능에 가르친 뒤, 수의사가 양을 치료할 때 찍은 사진 500장을 학습시켰다. 실험 결과, 약 80%의 정확도로 질병에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측정 결과와 비교했다. 그러자 측정 결과가 94.9% 일치할 정도로 정확하게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doi:10.1145/2370216.2370261).◀ 기침 소리를 분석해 폐렴을 94% 민감도로 진단할 수 있는 레스앱.목소리로 조울증을 진단하는 앱도 있다. 조울증은 기분이 지나치게 좋거나 나쁜 상태가 나타나는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양자암호키 생성자가 어떤 방식으로 광자에 정보를 넣었는지 모른 채로 양자암호를 측정하면, 양자 중첩 현상때문에 원래 정보와 다른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약 정보값 ‘0’을 ‘ㄱ’방식으로 보냈는데, 이것을 ㅅ‘ ’ 방식으로 확인하면 양자중첩에 의해 50% 확률로 0 또는 1의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넣은 뒤 180초 동안 양성자빔을 쪼였다. 플루오린이 방출하는 감마선 에너지 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전체 샘플의 33%에서 검출 한계(16nmol/cm2) 이상의 플루오린이 검출됐다. 많은 것은 50배인 800nmol/cm2에 달했다. 플루오린이 검출되는 비율은 피자 박스와 같은 포장용 판지에서보다 햄버거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