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시스템을 고안했다. 현재 쓰나미 관측 연구는 지진계와 부표, 해저압력센서 등으로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여기에 데이터를 추가해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르지오 사바스타노 연구원은 “현재 NASA 제트추진연구소가 운용하는 GPS 시스템에 바리온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측정 결과와 비교했다. 그러자 측정 결과가 94.9% 일치할 정도로 정확하게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doi:10.1145/2370216.2370261).◀ 기침 소리를 분석해 폐렴을 94% 민감도로 진단할 수 있는 레스앱.목소리로 조울증을 진단하는 앱도 있다. 조울증은 기분이 지나치게 좋거나 나쁜 상태가 나타나는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양자암호키 생성자가 어떤 방식으로 광자에 정보를 넣었는지 모른 채로 양자암호를 측정하면, 양자 중첩 현상때문에 원래 정보와 다른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약 정보값 ‘0’을 ‘ㄱ’방식으로 보냈는데, 이것을 ㅅ‘ ’ 방식으로 확인하면 양자중첩에 의해 50% 확률로 0 또는 1의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넣은 뒤 180초 동안 양성자빔을 쪼였다. 플루오린이 방출하는 감마선 에너지 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전체 샘플의 33%에서 검출 한계(16nmol/cm2) 이상의 플루오린이 검출됐다. 많은 것은 50배인 800nmol/cm2에 달했다. 플루오린이 검출되는 비율은 피자 박스와 같은 포장용 판지에서보다 햄버거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스키점프 선수들의 공기저항을 측정하는 데 이용하기도 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 빠르게 더 폼나게, 수학 입은 슈퍼카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Part 3. 슈퍼카에서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적했어요. 두개골의 ●전기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왜곡이 생긴다는 거예요. 두피에서 측정된 뇌파는 실제 뇌파의 80~90%에 불과해요. 이 때문에 뇌파로 드론을 움직일 수 있지만, 큰 로봇을 정교하게 조절하기는 어렵다는 거지요.●전기전도도 : 전기가 통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를 ... ...
- [과학뉴스] 물은 정말 무(無)맛일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마비시킨 뒤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등을 내는 음식을 먹이고 뇌 신경의 전기 신호를 측정했다. 짠맛 수용체를 마비시키고 소금을 먹이자 뇌 신경에 아무런 반응이 없었지만, 다른 맛을 내는 음식에 정상적으로 반응했다. 또 신맛 수용체를 마비시키고 물을 먹이자 뇌 신경의 반응이 없는 것을 ... ...
- Part 3. 슈퍼카에서 하이퍼카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7km라는 뛰어난 성능으로 가장 빠른 자율주행자동차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테스트를 통해 측정한 기록이지만 자율주행 슈퍼카도 상용화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앞으로 정밀한 센서와 최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자율주행시스템을 개발하면 사람이 운전할 때보다 더 빠른 슈퍼카를 탈 수 있을지도 ... ...
- 풋볼 팬타지움 수학여행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이 외에도 빛을 따라가야 하는 드리블 체험, 가상 골대에 공을 차면 정확도와 속도를 측정해주는 패널티킥 체험, 각국의 국가대표 축구팀 유니폼을 입고 사진을 찍는 AR(증강현실) 체험을 거치며 신나게 축구를 즐겼다.땀 흘릴 정도로 몸이 달아오른 독자들이 다음으로 모인 곳은 홍석만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안정과 붕괴의 중첩이나 고양이의 삶과 죽음의 중첩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실제로 측정하거나 경험할 수는 없어. 물리학 이론과 실제 경험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일을 ‘해석’이라고 해. 내가 지지하는 ‘많은 세계 해석’은 우리가 고양이의 생과 사가 중첩된 상태를 보지 못하는 이유를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