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숯과 공기청정기는 큰 효과가 없었어요.그런데 측정기 옆에 식물을 두고 라돈 농도를 측정한 결과, 라돈 농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하지만 안 좋은 점도 있어요. 식물의 잎은 계속 라돈을 품고 있어, 언젠가 다시 라돈을 방출할 위험도 있답니다. 따라서 라돈 농도를 떨어뜨리는 가장 ...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때 토양의 회복이 더 빠르기도 했거든요.◀ 산불 피해지의 토양이 얼마나 쓸려 나가는지 측정하는 틀. 토양이 많이 쓸려나갈 경우 인공 복원을 진행한다.인공 복원은 한 종의 나무만 심기 때문에 돌아와 살 수 있는 동물의 종도 다양하지 않아요. 반면 자연 복원은 그 환경에만 맞으면 어떤 식물도 ... ...
- [과학뉴스]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국제 게놈 연구팀은 아프리카 대륙에 사는 2092명을 대상으로 팔 안쪽 피부의 빛 반사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동아프리카의 나일로-사하라 언어를 쓰는 민족의 피부가 가장 검고, 남아프리카산(San) 족의 피부가 가장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중 1593명의 혈액을 수집해 유전자 변이를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측정한 지진파로 지진 규모를 계산하지만 한국은 국내에 설치된 수십 개의 관측소에서 측정한 자료를 사용한다. 잦은 지진으로 데이터를 많이 축적한 일본도 50여 년간 사용한 보정값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1990년대 말에 발견하고 2000년대 초반에 규모식을 개선했다. 미국이나 이탈리아처럼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처음 만들어낸 DC코믹스의 편집자문위원이었던 윌리엄 몰튼 마스턴은 실제로 혈압을 측정해 거짓말을 탐지하는 기기를 발명한 심리학자다. 영화 속 진실의 올가미는 묶인 상대를 무력화할 뿐 아니라, 상대가 환각이나 기억상실 상태일 때 치유하는 효과도 있다. 대장장이 신 헤파이토스가 대지의 신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책에 있는 수치만 갖고 계산해 문제를 해결했지만, 이번 투어에서는 우리가 직접 측정한 수치를 식에 대입해 계산했어요”라며, “직접 문제를 만들고 푸는 것이 집중도 잘 되고 재미있어요”라고 매스투어 소감을 밝혔다. 3학년 박태영 군은 “수학이 계산 중심의 암기 과목이라 생각했었는데,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구현이 가능하다. 남아 있는 팔에서 근육이 만들어내는 근전도(EMG)라는 전기신호를 측정해서 전자 의수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원리는 간단하다. 우선 남아 있는 팔 부위와 전자 의수가 닿는 부위에 ‘전극(electrode)’ 조각을 여러 개 붙인다. 그러면 전극은 바로 아래 운동신경세포가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합성하면 간섭 현상이 생긴다. 이를 이용해 두 팔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어떻게 변했는지 측정함으로써 중력파를 검출한다. 라이고는 2005년 목표했던 감도에 도달했고, 2007년부터는 유럽 중력파 관측소 ‘버고(Virgo)’까지 가세해 삼중 관측이 진행됐다. 2010년까지 총 6차례 가동을 했는데, 초기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볼츠만 상수를 고정함으로써, 아주 낮은 온도나 높은 온도에서 온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이런 변화는 1983년 빛의 속도 값을 고정해 미터의 정의를 바꾼 이후 가장 큰 변화다. 물론 실제로 연구 현장에서 실험을 하는 과학자들조차 거의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사실 느껴서도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팀은 ‘고려대 크리에이티브 챌린지 프로그램’에 지원해 우수팀으로 선정됐다. 뇌파 측정기 개발을 맡은 강신영 씨(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4학년)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앞으로 어떤 공부를 할지 알게 됐다”며 “현재 연구실에서 뇌파와 관련된 연구를 하고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