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일으키는 항원과 결합해 제거하는 항체의 특성과 유사하다. 항체에는 항원을 알아보는
부위
가 있어 아무리 닮았다 하더라도 특이성이 다른 항원은 인식하지 않는다. RNA 앱타머도 표적분자를 귀신같이 알아보는 능력이 있어 아무리 닮은 분자라도 표적분자가 아니면 절대 결합하지 않는다.면역반응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이 겹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며 “뇌섬엽이 바로 그
부위
”라고 설명했다. 연구자들은 이번 결과가 ‘어릴 때 온기를 느끼는 신체 접촉이 정상적인 정서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는 기존의 관찰도 잘 설명한다고 덧붙였다.즉 철사로 만든 어미와 헝겊으로 만든 어미 ... ...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남자의 인생극장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6개로 이뤄진 반복 염기가 떨어져 나간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같은 변화가 일어나는
부위
에 텔로미어라는 이름을 붙였다. 세포는 흔히 50번 정도 분열하면 사멸하는데, 헤이플리크는 텔로미어가 없어지면 세포의 수명이 다한다고 설명했다.정상이지만 30~40대만 돼도 80대 외모가 되는 ‘베르너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광호흡을 시작한다. 이산화탄소와 산소는 루비스코의 같은 활성
부위
에 결합하는 경쟁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C3식물은 광합성과정에서 고정한 이산화탄소의 30~50%를 광호흡으로 소비해 광합성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그러나 C4식물은 광호흡을 하지 않아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바뀌고 이는 대뇌피질의 광범위한 영역과 연결된 신경망을 통해 대뇌피질의 여러
부위
로 전달된다. 그러면 기억과 관련된 유전자가 발현되면서 단백질이 만들어져 기억 내용이 공고해진다. 그러면 비서술 정보는 어디에 저장될까? 운동 기술은 대뇌의 선조체나 소뇌에 저장된다. 계속적인 자극에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일부가 늘어나 형태가 바뀔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목제품을 결합시켜 만든 제품들은 결합
부위
가 뒤틀려 부서지고 그림은 안료가 떨어져 나갈 수 있다.국내에서 훈증 가스에 널리 쓰이는 브롬화메틸은 오존층 파괴물질인 브롬 화합물이다. 1997년 제9회 몬트리올의정서당사국 회의에서 브롬화메틸이 ... ...
[신경과학]남녀는 아름다움 느끼는 방식도 다르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영역으로 운동과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데 특히 현생인류가 등장하면서 크게 발달한
부위
다. 흥미로운 사실은 아름다움을 느낄 때 두정엽 활동 패턴에 남녀 차이가 있었다는 점. 여성은 양쪽 두정엽 모두 활성화된 반면, 남성은 오른쪽 두정엽만 활발했다. 남녀는 아름다움을 느끼는 과정이 다른 ... ...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형광물질을 담아 암에 걸린 쥐에게 주입한 결과, 나노입자가 암세포가 침투한
부위
에 정확하게 도달해 붙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런 나노입자는 형광영상법과 MRI로 동시에 촬영할 수 있었으며, 항암제를 넣은 나노입자를 쥐에 주사하고 MRI 로 촬영한 결과 주입하고 24시간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 ...
[해양학]유출된 기름띠 위성사진으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하지만 해양 표면에 반사된 태양광이 카메라 렌즈 각도에 맞춰 다량 들어오면 기름띠
부위
만 어둡게 나타난다. 지금까진 바다에 반사된 태양광이 들어온 위성사진은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기름 유출 여부를 가려내는 데 ‘특효약’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후 박사는 ... ...
진화론 논쟁 감상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호흡계와 소화계가 점차 분리됐다. 즉, 처음에 길게 이어져 있던 호흡계와 소화계의 겹친
부위
가 점차 짧아져 마침내 하나의 교차점으로만 남게된 것 이다. 이것이 인간을 포함한 고등 척추동물에서볼 수 있는 호흡계의 기본 구조이다. 따라서 음식물로 인한 인간의 질식 현상은 척추동물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