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모기도 이상형을 만나면 '노래'를 부른다. 특이하게도 모기가 '노랫소리'를 내는
부위
는 입이 아니라 날개다. 모기는 1초에 400~500번 날개를 저으며 노래한다.지난 2월 초 미국 코넬대 신경생물학 및 행동학과 로널드 호이 교수팀은 이집트 숲모기(Aedes aegypti)가 날갯짓을 하는 모습을 관찰한 결과, ... ...
한 달에 한 번 마녀 되는 '두 얼굴'의 여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쑥스러워하거나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검사를 받으려면 속옷을 벗고 부끄러운
부위
를 보여야 한다는 생각에서다. 산부인과 전문의들은 “항상 내진을 하지는 않으니 걱정하지 말라”고 말했다. 내진이란 장이나 생식기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진찰하는 일을 말한다. 그렇다면 생리통을 상담하러 ... ...
세포 시계 되돌려 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체세포를 채취해 역분화 줄기세포로 만든 다음 필요한 조직의 세포로 분화시켜 원하는
부위
에 이식하면 질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환자 자신의 세포를 쓰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도 없다.그러나 여기에는 문제가 있다. 일본과 미국 연구팀은 역분화를 유도하는 데 필요한 ... ...
400년 된 무덤에서 되살아난 금빛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금박과 만나면 전기적으로 중성인 금박에서 부분적으로 전하가 쏠린다.결국 금박의 특정
부위
의 금 원자는 전기적으로 양전하를 띠고 일부는 음전하를 띠며 금 원자 사이의 인력 때문에 서로 엉기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또 수용성 접착제에 함유된 물은 표면장력이 커서 접착제가 한지에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람마다 악취의 성분과 강도는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정상세균총 동물체의 특정
부위
에서 장기간 서식하는 세균 집단을 말한다. 이 세균 집단은 질병을 일으키지 않으며 외부에서 유입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재밌게도 일부 전문가들은 아포크린땀샘에서 분비되는 땀이 이성을 유혹하는 ... ...
여름밤 당신의 뇌파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가 활발히 움직인다. 이때 나오는 뇌파는 형태가 세타파와 비슷하다. 그러나 뇌 여러
부위
에서 나온 뇌파가 혼합돼 있다는 점이 1, 2단계 수면의 세타파와 다르다. 자는 동안에도 뇌가 활발히 활동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일반적인 세타파는 뇌가 최소한의 활동만 하면서 나오는 게 보통이다.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장치인 X선 광학계를 만들기 어려웠다. 광학계란 빛을 반사시키거나 굴절시켜 특정
부위
에 물체의 상이 맺히도록 하려고 반사경, 렌즈, 프리즘 등으로 구성한 장치를 말한다. 일반 현미경에서 볼 수 있는 접안렌즈나 대물렌즈도 일종의 광학계다.제 교수는 대만 중앙연구원의 후 유광 교수와 스위스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발현하는 트립타제 클라라(tryptase clara)라는 효소만이 자를 수 있다. 독감의 감염
부위
가 폐에 국한된 이유다. 그런데 고병원성 H5형 바이러스의 HA는 이 부분의 아미노산 염기서열이 바뀌어 있고 그 결과 숙주의 몸 대부분에서 발현하는 푸린(furin)이란 효소에 의해서도 잘 잘린다. AI 바이러스가 ... ...
[로봇공학] 인간처럼 넘어지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계산하는 방정식을 만들었다. 로봇이 바닥에 부딪힐 때 로봇의 관절이나 카메라 등 주요
부위
가 받는 힘과 토크(회전력), 충돌 속도 등을 방정식의 변수로 계산했다. 그 뒤 연구팀은 총 충격량 값을 최소화시키는 동작을 연구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잘 넘어지는’ 방법 두가지를 찾아냈다. 첫 ... ...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 만들어지고 이를 신장(콩팥)에 넣어 2주 정도 더 키운 다음 생쥐의 치아가 없는
부위
에 이식하면 치아가 생긴다”고 말했다.아직까지 치아 형태, 크기, 숫자를 조절 못하고 치아가 발생하는 생체 상피를 직접 써야 하며, 실험실에서 치아의 인산칼슘을 생체 내와 똑같이 만들 배지가 없어 ‘치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