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위해 독성물질을그쪽으로 집중시키기도 해요. 그래서 야채나 과일을 먹을 때 상처가 난
부위
가 있으면 그 곳을 깨끗이 도려 내고 먹는 게 몸에 좋지요.”“에휴, 앞으로는 음식을 먹을때조심해야겠어요.”“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식품에 들어 있는독의 양은 매우 적어서 일상생활에서는 ... ...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드러나야 쇼핑객에게 사실적인 정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옷을 입었을 때 원단이 신체
부위
별로 어떻게 변하는지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해야 한다는 뜻이다.무엇보다도 디지털 의상끼리 또는 디지털 의상과 아바타끼리 충돌 문제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충돌 문제란 쉽게 말해 아바타 체형에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정보를 만든 피질하 구조는 단독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안와전두엽 같은
부위
와 상호작용하며 더 정교한 선호판단을 내린다. 안와전두엽은 측핵에서 오는 정서적인 신호를 이성적으로 조율해 최종 의사결정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200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매튜 리버만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기명으로 기부할지 또는 금전적 보상이 있는지 없는지는 뇌에서 반응이 일어나는
부위
에는 큰 차이를 주지 않는다는 점이다.자선기부시에도 뇌의 보상회로가 작동한다는 사실은 이타주의적 행위가 주는 기쁨이 쾌락적 행위가 주는 기쁨과 본질적으로 같음을 의미한다. 도덕적인 선택이 우리에게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발견됐다고 하자. 이 단백질을 제어하는 약물을 개발하려면 활성
부위
를 찾아 활성을 막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알아야 한다. 김 교수는 “구조를 모르는 단백질이라도 아미노산 서열만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백질과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발달했다. 대뇌가 지배하는 신체 영역을 지형도(topographic map)로 그려보면 손이 차지하는
부위
가 매우 넓다. 이는 손이 정교한 운동 능력과 감각을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미각은 단맛, 신맛, 쓴맛, 짠맛의 4가지로 구분되는데 실제 느끼는 맛은 이들의 조합에 의한 것으로 매우 복잡하다. 혀에는 맛을 ... ...
[생물]도파민의 작용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DNA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
부위
를 잘라내고, DNA 연결효소는 DNA 제한효소에 의해 잘린
부위
나 특정 염기쌍을 연결한다. 운반체는 재조합 DNA를 숙주세포나 다른 생물의 세포에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실제로 DNA를 복제하는 과정에서는 운반체로 플라스미드와 박테리오파지를 주로 사용한다.- 고등학교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내는지 그 원리를 밝혔으며 GFP가 형광을 내는 데는 산소가 필요함을 보였다. 또 GFP의 발색
부위
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을 다른 종류로 바꿔 훨씬 더 강한 형광을 내는 GFP를 만들었고 그 뒤 다른 색깔의 형광을 내는 여러 가지 GFP 돌연변이를 만드는데도 성공했다. 그 결과 살아있는 세포에서 여러 종류의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상징이 됐지만, 큰 비극을 낳기도 했다. 1986년 1월 28일 두 개의 고체 로켓 부스터 연결
부위
가 새는 바람에 챌린저가 이륙한 지 1분 13초 만에 공중 폭발했다. 또 2003년 2월 1일 컬럼비아가 대기권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또다시 폭발했다.현재 NASA는 아틀란티스와 디스커버리, 엔데버 3대의 우주왕복선을 ... ...
먹어도 살 안찌는 돌연변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흡수량은 줄었다.하사니 교수는 “잘려나간 Tbc1d1 유전자 부분에 인슐린 분비량을 늘리는
부위
가 있기 때문”이라며 “이 유전자의 정확한 메커니즘을 밝히면 사람의 비만과 당뇨를 치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