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역으로 계산해 구조 정보를 얻는다. 이 방법의 경우 분자 크기에는 제한이 없지만 반드시 목표 분자를 규칙적인 분자 배열로 결정화시켜야 하는데, 일정 크기 이상으로 결정화되지 않는 일부 생체 분자의 경우 그 구조를 얻을 수가 없었다. 또 이 두 기술을 이용하려면 반드시 많은 양의 농축된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천적에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서인데, 무리를 지으면 천적이 바깥쪽에 있는 동물을 목표물로 삼기 때문에 서로 무리 안쪽으로 파고들어 살아남으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각자 살아남기 위해 행동한 결과 빽빽한 무리가 만들어진다는 것이지요. 해밀턴은 개구리와 육식 동물인 뱀이 살고 있는 ... ...
- Part 2. 변신 로봇 등장?!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뿐만 아니라,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길이를 줄이는 일도 가능하다”며, “우리의 최종 목표 중 하나는 트랜스포머처럼 변신할 수 있는 로봇 모양을 설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Part 1.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레이저로 가능하다. 항공기를 격추하는 미사일은 대부분 적외선 추적 미사일이다. 즉, 목표물에서 나오는 특정 파장을 미사일이 ‘보고’ 이를 쫓아가 격추한다. 이때 레이저를 쏘면 미사일이 쫓는 파장을 교란할 수 있다. 현재 미 공군이 운용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에 이런 기술이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반도체 칩을 연결해 새로운 지능을 만들어 내는 것이 다음 세기 뇌 연구의 주요 목표가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사이보그라는 캐릭터에 투영된 인간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드는 일은 이 글을 읽는 바로 여러분들에 달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길이가 상대적으로 어떻게 변했는지 측정함으로써 중력파를 검출한다. 라이고는 2005년 목표했던 감도에 도달했고, 2007년부터는 유럽 중력파 관측소 ‘버고(Virgo)’까지 가세해 삼중 관측이 진행됐다. 2010년까지 총 6차례 가동을 했는데, 초기 라이고 감도 내에 유의미한 중력파를 발생하는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군이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세 주제 모두 너무 재미있어서 향후 목표는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커피와 음악에 대한 열정도 커서 언젠가 재즈 카페를 운영하는 것도 소원이란다. “지금까지 제가 흥미를 느끼는 것들을 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거예요. 언젠간 ‘즐거운 과학자’가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뇌과학 동아리 커뮤니티를 만들고, 이들과 연합해 대학생 뇌과학 학술대회 개최하는 게 목표다. 현재 연세대 뇌과학 동아리와 연합을 준비 중이다. 한양대, KAIST 등과도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을 구상하고 있다. 고등학교 뇌과학 동아리와의 연합도 추진하고 있다. 일종의 멘티-멘토 활동이다. ‘뉴런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다. 바로 ‘트레이드오프(Trade-off)’다. 트레이드오프란 사전적으로 두 개의 과제 혹은 목표가 있을 때 한 쪽을 달성하면 다른 한 쪽은 희생돼야 하는 관계를 말한다. 미사일지침에서는 탄두중량과 사거리에 이 개념을 도입해, 탄두중량을 늘리면 사거리를 줄이고, 중량을 줄이면 사거리를 늘릴 수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인류의 통일된 역사를 정립해야겠다는 데까지 생각이 미쳤다. 목표는 장대했지만, 목표한 만큼 과학적인 빅 히스토리를 정립하기란 말처럼 쉽지 않았다. 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전에는 지금처럼 우주와 지구, 생물의 역사가 충분히 밝혀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크리스천 교수는 “이제 인류는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