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커넥톰을 과학자들끼리 공유하고, 이를 이용해 디지털 생명체를 만드는 게 목표였지요. 그 결과, 2014년에 예쁜꼬마선충의 커넥톰으로 레고 마인드 스톰 로봇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있다. 비록실험실 수준이지만, 원하는 물질을 찾아 들어 올려 목표한 지점에 내려놓는 임무에도 성공했다. 첸 교수는 “혈류나 세포에 약물을 운송하고, 암세포와 같은 몸 속 찌꺼기를 끌어다 버리는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구축돼 있으며, 이 가운데 2개는 현재 운영을 시작했고 나머지 4개는 2018년 중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E-XFEL은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별도 사용료 없이 실험용으로 개방된다. 에벨링 팀장은 “향후 5~10년은 연구 데이터를 공개한다는 조건 하에 무료로 장비를 사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라며 “그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정확하게 목표하는 영역만을 활성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정 약물을 주입해 뇌 영역을 자극하거나 억제하는 방법도 사용했지만, 이 역시 약물이 체내에 흡수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어렵고, 약물에 ...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모두 관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어요. 그리고 전국 방방곡곡을 바쁘게 다닌 끝에 결국 목표를 이뤘지요. 강원도 평창에서 72시간을 기다려서 세모배매미를 발견한 일 등 잊지 못할 추억들이 많답니다.” 배윤혁 연구원은 내년에도 전국 곳곳을 다니며 매미 탐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해요. “함께 ... ...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덴마크 코펜하겐이 1위를 차지했어요. 코펜하겐은 2025년까지 100% ●탄소 중립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를 늘리고 있어요. 그 중에서도 풍력발전을 적극 활용해 이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였지요. ●탄소 중립 :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다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 ...
- [현장 취재] 야생동물을 위해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서식지 문제를 돕자!’라는 목표로 메이커 프로젝트에 도전한 지구사랑탐사대! 총 10개 팀이 지난 10월 21일, 최종 제작물을 발표하기 위해 모였어요. 지구에서 야생동물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도전했던 지난 5개월의 여정을 함께 만나 볼까요? 망치고, 실패하고, 다시 해 보고 ... ...
- [과학뉴스] 2017년 노벨상 발표! 수상의 영광은 누구에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이 받았어요. ICAN은 핵무기가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체예요. 세계 100여 개국 468개 비정부기구가 함께하고 있지요. 이 단체는 핵무기가 인류를 위협한다고 보고, 이를 금지하고 제거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하는 ‘인도주의 서약’을 108개국에서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프시케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무거운 소행성으로 알려진 ‘16 프시케’를 탐사하는 것이 목표예요. 대부분 철과 니켈로 이뤄진 소행성인데, 이 물질은 지구 중심 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이기도 하답니다. 그래서 16 프시케의 연구는 지구 중심 부분을 이해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2019년에 ‘프로스펙터-1’을 쏘아 올려 채굴을 할 소행성까지 보내는 게 첫 번째 목표랍니다. 프로스펙터-1은 소행성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물이 존재하는지 조사하게 돼요. 우주에서 물은 훌륭한 연료이기 때문이지요. 물을 전기분해하면 산소와 수소가 되는데,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거든요.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