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3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실패했다는 좌절감이 느껴질 때에도 실은 오경보이거나
작은
문제를 부풀려서 과하게 반응하는 경우일 수 있다. 화가 나는 사건 역시 그렇다. 불필요한 반응인 경우가 존재한다. 내 삶에는 좋은 일보다 나쁜 일이 더 많은 거 같고 인생에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느껴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씹는 순간 굴 특유의 향기가 올라오면 그 강렬함에 머리가 어질어질해진다. 예전에는
작은
걸 골라 초고추장을 듬뿍 찍어 억지로 먹었지만 남 눈치 볼 일이 없어진 지금은 그냥 안 먹는다. 보통 횟집에서 회 나오기 전에 사람 수 대로 굴이 나오는데 필자가 양보하면 “이 좋은 걸 왜...”라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9
발견했습니다. 모기는 대부분의 곤충과 마찬가지로 날갯짓을 할 때 날개 위 쪽에
작은
소용돌이가 발생하는데, 연구팀은 이 소용돌이의 패턴을 분석해 모기 비행의 특징을 알아냈습니다. 모기의 날개짓(위로 올리는)으로 형성되는 소용돌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모습. 연구팀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연성물질(액체 상태의 고분자)을 두 판 사이에 두고 간격을 좁히며 분자크기의
작은
층을 만드는 경우, 간격을 줄일수록 액체를 움직이는데 많은 힘이 듭니다. 이때 고분자의 종류와 크기에 따른 분자 간 반발력, 막의 두께에 따른 점성 등을 측정하는 연구를 했습니다. 2013년 초에 그래닉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
2017.03.25
논리적 사고력 등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잠이 모자라면 ‘감정’ 조절도 잘 안되서
작은
일에 화를 내게 되거나 급 기분이 나빠지는 등 기분이 롤러코스터를 타는 현상도 더 잘 나타난다. 쉽게 폭발하고 왔다갔다 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끼치게 될 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모자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6번 염색체에서 ob 유전자를 찾는데 성공했다. ob 유전자는 아미노산 167개로 이뤄진
작은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었고 생쥐의 몸에서 이 단백질을 추적한 결과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 역할을 하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이 호르몬에 ‘마르다’는 뜻의 그리스어 렙토스에서 따온 ‘렙틴(leptin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ARC센터는 호주의 산호초 연구 전문기관이다. 산호초의 선명한 색은 표면에 사는
작은
플랑크톤 때문이다. 하지만 수온이나 압력이 변해 플랑크톤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되면 표백 현상이 생기고, 이것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 결국 산호초는 죽어버린다. 연구진은 항공 및 수중 이미지, 해수면 ... ...
30대, 50대가 외로움을 더 느끼는 이유는 이것 때문!
2017.03.19
커진다는 것이다(Carstensen & Mikels, 2005). 또한 나이가 들수록 갖가지 경험을 겪게 되면서
작은
일에는 더 이상 정서적으로 흔들리지 않게 될 수 있다는 연구들도 있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젊었을 때는 괜찮은데 나이가 ... ...
[사이언스 지식IN] 미세먼지와 황사는 무슨 차이 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3.17
입자 중
작은
입자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세먼지 중 입자 크기가 2.5μm 보다
작은
입자(PM2.5)를 초미세먼지라고 합니다. Q. 우리나라는 미세 먼지가 많은 편인가요? A.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인구 1400만 명 이상 도시 중 미세먼지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도시는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사실 최초의 인공생명체는 이미 2010년 개발됐다.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JCVI)는 가장
작은
생명체라고 알려진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를 인공적으로 합성한 박테리아 ‘JCVI-syn1.0’을 개발했다. JCVI-syn1.0은 세포핵이 없는 원핵생물이다. 염색체도 1개만 갖춘 아주 간단한 구조다. 이와 달리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