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3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6번 염색체에서 ob 유전자를 찾는데 성공했다. ob 유전자는 아미노산 167개로 이뤄진
작은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었고 생쥐의 몸에서 이 단백질을 추적한 결과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 역할을 하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이 호르몬에 ‘마르다’는 뜻의 그리스어 렙토스에서 따온 ‘렙틴(leptin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ARC센터는 호주의 산호초 연구 전문기관이다. 산호초의 선명한 색은 표면에 사는
작은
플랑크톤 때문이다. 하지만 수온이나 압력이 변해 플랑크톤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되면 표백 현상이 생기고, 이것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 결국 산호초는 죽어버린다. 연구진은 항공 및 수중 이미지, 해수면 ... ...
30대, 50대가 외로움을 더 느끼는 이유는 이것 때문!
2017.03.19
커진다는 것이다(Carstensen & Mikels, 2005). 또한 나이가 들수록 갖가지 경험을 겪게 되면서
작은
일에는 더 이상 정서적으로 흔들리지 않게 될 수 있다는 연구들도 있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젊었을 때는 괜찮은데 나이가 ... ...
[사이언스 지식IN] 미세먼지와 황사는 무슨 차이 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3.17
입자 중
작은
입자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세먼지 중 입자 크기가 2.5μm 보다
작은
입자(PM2.5)를 초미세먼지라고 합니다. Q. 우리나라는 미세 먼지가 많은 편인가요? A.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인구 1400만 명 이상 도시 중 미세먼지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도시는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사실 최초의 인공생명체는 이미 2010년 개발됐다.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JCVI)는 가장
작은
생명체라고 알려진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를 인공적으로 합성한 박테리아 ‘JCVI-syn1.0’을 개발했다. JCVI-syn1.0은 세포핵이 없는 원핵생물이다. 염색체도 1개만 갖춘 아주 간단한 구조다. 이와 달리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atom)’로 칸 국제광고제 황금사자상을 받기도 했다. 이 영상은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영화로 등록됐다. 그는 궁극적으로 양자컴퓨터의 정보 기본단위인 큐비트를 정확히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소재 연구도 중요하다.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은 일상적인 3차원 세상과 1·2차원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막기 위해 특수 제작하는 호흡용 고압 기체 통에는 질소보다 혈액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작은
헬륨 등을 산소와 섞어 사용합니다. 그는 수심 30m-150m 사이 희미하게 빛이 드는 ‘트와일라잇 존(약광층)’에 서식하는 물고기들과 산호들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 SCIENCE / Sonia Rowely 제공 알록달록 색이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
2017.02.26
있다는 것이다. 조직과 자신의 동일시가 조직에서 영향력이 큰 윗사람들보다 영향력이
작은
사람들이 더 불의를 많이 드러내고 고발하는 현상에 일부 기여한다는 것. GIB 제공 ● ‘우리는 하나’가 불러오는 비도덕성 비슷하게 그룹에 ‘충성’을 맹세시키고 집단에의 소속이 자신의 정체성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찾은 거대한 네펜시스(Nepenthes attenboroughii)로 포충낭의 폭이 16cm에 이르러 쥐 같은
작은
포유동물도 잡아먹는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같은 해 나온 한 리뷰논문에서는 식충식물에 대한 이런 ‘헛소문’이 여전하다고 쓰고 있다. 그런데 2012년 10월 한 식물학자가 포충낭에서 죽어있는 뒤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o emulsion)이고 아래는 수용액에 있는 리포솜 상태다. 인공세포 안에는 유전자를 담고 있는
작은
게놈(DNA)과 ‘전사/번역 시스템’(ribosome, tRNA)이 들어있다. - COCB 제공 ● 진짜 생명체는 아니지만… 반면 인공세포( artificial cell)은 세포를 모방했을 뿐 진짜 살아있는 생명체는 아니다. 세포막과 비슷한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