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플라시보 약이 필요할 경우 인터넷에서는 살 수 있는데, 사진 속의 제품은 설탕으로 만든
작은
알약이 들어있다. - Universal Placebos 제공 ● 정직한 위약도 효과 있어 책에서 저자가 ‘마음의 힘’의 대표적인 사례로 드는 게 바로 플라시보(placebo), 즉 위약(僞藥) 효과다. 2장 ‘상식을 뒤집는 생각’에서 ... ...
삶이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3가지 방법
2017.10.06
의미없는 것으로 치겠다는 말과 같으니, 그러지 말고 일상에서 흔히 할 수 있는 많은
작은
일들에서부터 충실하게 즐거움과 의미를 거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미에서 일리있는 말이다. 삶이 엉망진창 아무 의미 없이 느껴질 때 인생을 180도 바꿀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나서는 것도 좋지만 우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높아진다면 사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수도 있다. 그런데 SFTS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작은
소참진드기는 주로 쥐 같은 동물에 기생하는데 어떻게 이처럼 짧은 시간에 한반도와 심지어 바다 건너 일본까지 건너가게 됐을까.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철새가 운반책일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확인하지는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폭발할 때 중성미자와 핵자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또
작은
검출기로도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향후 핵분열 및 핵융합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응용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
2017.09.17
별로인데 의기소침함을 느끼는 나를 보고 또 다시 의기소침해지기도 했다. 이런
작은
일로 기죽는 내가 참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럴 때 나의 선택지는 보통 둘 중의 하나였다. 1) 별 일 아니라는 듯 행동한다. 나의 마음은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지만 그냥 무시하고 계속 일에 몰두하거나 주의를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연구에 의하면 평소 잠깐 멈추고 마음을 정리해 버릇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이런
작은
명상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한다(Creswell et al., 2014). 나의 경우처럼 손을 움직여서 할 수 있는 단순 작업이나 정처없이 걷기 등 뭐든 좋으니 생각을 잠시 멈추는 습관을 한두 개쯤 만들어 보면 어떨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일으킨 백색왜성이 500년이 지난 1934년과 1935년, 1942년 연달아 왜소 신성에 해당하는
작은
폭발을 일으켰음을 확인했다. 1942년 일어난 격변변광성의 왜소 신성 폭발 장면이다. 4월 29일에서 5월 18일, 6월 6일까지는 점점 밝아지다가 6월 9일에는 다시 어두워졌다. - 네이처 제공 미국자연사박물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쓰레기 더미를 만들고 있다. 예를 들어 2년 전 한 해양생물학자가 생태조사차 남태평양의
작은
무인도인 핸더슨섬을 찾았다가 곳곳에 널려있는 쓰레기에 놀라 모아 무게를 달아본 결과 18톤에 이르렀다. 이 섬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까지 거리가 5000km가 넘는다는 걸 생각하면 놀라운 일이다. 쓰레기 ... ...
스트레스에는 ‘잠’이 보약인 이유
2017.08.06
났을 때 감정적으로 괴로운 정도도 덜했다. 충격적인 기억의 빈도와 충격의 크기 모두
작은
경향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충격적 영상에 대한 기억에서만 나타났으며 일반적 영상에 대한 기억에서는 잠을 잔 사람과 자지 않은 사람 사이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충격적인 영상을 보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수 있다. 몸에 붙어 있는 테이프를 떼어내는 실험에서도 걸리는 시간이 훨씬 짧았다.
작은
통속에 먹이가 들어 있어서 앞발로 꺼내 먹어야 하는 경우도 변이 생쥐가 훨씬 쉽게 먹이를 꺼냈다. 그렇다면 왜 생쥐는 이처럼 앞발가락(손가락?)을 정교하게 쓸 수 있었음에도 그 가능성을 스스로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