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작은"(으)로 총 1,4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pH는 수소이온지수로 용액의 산성도를 나타낸다. 중성인 pH7을 기준으로 그보다 작은 값은 산성, 큰 값은 알칼리(염기)성이다. 따라서 pH1이면 산성이지만 이 숫자만으로는 얼마나 큰 차이인지 실감이 안 난다. pH는 수소이온농도의 상용로그에 –1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pH1은 pH7에 비해 ...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동아사이언스 l2018.04.14
- 식물 세포에서는 세포벽을 통해 물에 녹는 미세한 단백질이나 용질 등 크기가 작은 물질이 침투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크기가 큰 물질들은 세포벽을 투과하지 못한다. 이에 원형질 연락사가 세포 사이 미세한 구멍을 통해 크기가 큰 물질도 직접적으로 전달 및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자존감의 내용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크지 않도록 현실감각을 잘 유지하고 소위 ‘작은 자아’를 갖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eary et al., 2016). 또한 어렸을 때부터 무조건 우쭈쭈 키우는 것 또한 과한 자아 부풀리기의 한 가지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Twenge & Campbell, 2009). 부풀려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수 있는 범죄임을 시사하는 결과다. 폭력을 행사하기 위한 덫을 완성해가는 과정은 작은 것들로부터 시작된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살펴보자 (UC Davis Health). 당신이 : - 파트너가 종종 두렵게 느껴진다. - 나는 파트너에게 나쁜 대접을 받아도 싸다는 생각이 든다. - 내가 이상한 사람인건 아닌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따뜻함(예시: 친절함, 따뜻함 등)’의 인격적 차원이다 (Cuddy et al., 2008). 많은 사람들이 작은 정보로도 이 사람은 따듯하거나 똑똑할 것 같다거나 반대로 차갑거나 흐리멍텅할 거 같다는 판단을 재빨리 해낸다 (물론 정확성은 별개의 이야기다). ‘인상 형성(impression formation)’이라고도 불리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사실을 밝혀냈다. 즉 초파리는 주둥이 끝에 난 털을 통해 맛을 느끼는데 그 가운데 작은 털 여섯 개에서 칼슘맛을 담당하고 여기에 이들 세 수용체가 관여한다. 한편 초파리는 장기적으로 건강에 해로운 칼슘이 없는 먹이와 몸에 좋은 적당한 칼슘이 있는 먹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 생각하는 경향을 보인다. 나 역시 아직도 그런 사고방식이 익숙하지만 생각해보면 작은 프로젝트에서도 팀원 간의 갈등, 의사소통 문제, 정확하지 않은 정보, 주위의 방해, 컴퓨터 고장 등 다양한 문제를 마주했던 기억들이 있다. 간단해 보였던 일이 정말 간단한 것으로 드러났던 경험이 되려 적은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전이 일어나는 첫 단추 알아냈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8
- 파란 구는 핵을 나타낸다. 주목해서 봐야 하는 부분은 붉은색 안개로 둘러쌓인 작은 녹색 파편 부위다. 붉은색 부위는 염증을, 녹색 파편은 다른 세포에서 들어온 DNA 조각을 나타낸다. 사무엘 백하움 미국 메모리얼 슬로운 케터링 암센터 연구원팀은 암 전이가 ‘소핵’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사실 내 삶의 아주 작은 일부일 뿐이지만 그걸 ‘전부’라고 생각해 버리는 순간 아주 작은 실패에도 세상이 무너지는 좌절을 맛볼 수 있기 때문이다. 린빌의 연구에 의하면 실제로 자기 개념이 복잡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똑같이 하위 10%의 처참한 성적을 거두어도 비교적 덜 실망하는 ...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13
- 처음으로 프랑켄슈타인을 접했을 때의 소감들이 함께 실렸다. 인공 DNA를 개발한 데 이어 작은 미생물을 합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크레이그 벤터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생화학과 교수는 “프랑켄슈타인은 신의 영역이였던 창조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을 달리 볼 수 있게 만든 작품”이라며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