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스페셜
"
인류
"(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동시에 새끼를 낳아 키우는 경우가 종종 나온다. 참고로 자연 상태에서 임신을 하는
인류
집단에서도 이런 경우가 없지는 않다. 필자의 부모세대의 경우 삼촌이나 고모가 더 어린 경우가 더러 있다. 조사기간 동안 태어난 525마리 가운데 31%인 161마리가 두 세대 부모가 함께 양육하는 상태였다. ... ...
[카드뉴스]
인류
의 영원한 숙제, 생명의 기원을 찾아서, 영화 프로메테우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뛰어나다"며 "앞으로 젊은 연구자들이 마음껏 아이디어를 펼칠 수 있는 연구소를 만들어
인류
의 미래를 밝힐 지식의 허브로 성장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국내 주요 연구기관 및 대학 등 과학계에 배포한다. 과학을 지지하는 국민들도 쉽게 볼 수 있도록 전자책은 IBS 홈페이지에서 내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주생물학 연구결과는 자신의 생체시계를 무시하는
인류
의 이런 행태가 결국은 스스로를 망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을 먹느냐가 아니라 언제 먹느냐가 문제일수도 있다. 똑 같은 양의 고지방 사료를 먹어도 활동시간대(밤. 쥐는 야행성)로 먹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
2017.01.04
남극의 오존층이 회복되고 있다는 반가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인류
가 만든 환경 문제가
인류
의 노력으로 치유될 수 있음을 보인 뜻 깊은 일이다. 미국 MIT 지구대기행성과학과 수전 솔로몬 교수팀은 여러 관측 장비와 다양한 조건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분석, 2000년 이후 9월의 남극 오존층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추출하는 방법, 10위가 염기(또는 아미노산)서열데이터분석방법(소프트웨어)이다. 즉
인류
과학지식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연구 내용을 담은 논문이 아니라 실험의 기초가 되는 분석법을 설명하는 논문이 더 인기가 많은 것이다. 분석법을 다룬 논문은 많이 인용되는데 그치는 게 아니라 저자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 11년 만에 지구에서 천연두를 추방한 의사 도널드 헨더슨
2016.12.28
1월 24일 작고한 마빈 민스키의 경우는 1월 27일자 동아사이언스 기사로 대신한다.
인류
를 괴롭힌 가장 치명적인 바이러스 전염병인 천연두는 1977년 10월 26일 공식적으로 마지막 환자가 보고된 뒤 지구촌에서 자취를 감췄다. 196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해마다 1000만~150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해 세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
의 공통 관심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인한 4~6도의 평균기온 상승으로 특별히 지중해지역에 악영향이 예상된다며 새로운
인류
이주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두 번째 강연에서 하인리히 교수는 원자 수준의 미세한 탐침에 전압을 걸어 물질 표면의 원자 배치를 관찰하고 원자를 하나씩 옮길 수도 있는 주사터널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통하여
인류
문명 발달에 선도적으로 기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이
인류
문명을 선도하는 꿈을 실제로 실현해 가고 있는 현장을 창조하고 있는 중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지역 내부에는 종이 살 수 있는 영역이 섬처럼 흩어져 있는데 이게 국지개체군이다.
인류
가 농사를 짓고 서식지를 넓히면서 동식물이 살 수 있는 영역이 점점 파편화되면서 메타개체군이 늘어나고 있다. 메타개체군 분야를 개척한 생태학자 일카 한스키(Ilkka Hanski)가 지난 5월 10일 63세로 별세했다. 19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