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류"(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2018.03.15
- 그는 6년 전 런던 패럴림픽의 개막식에 등장해 “우리는 모두 다르다, 표준적인 인류라는 것은 없지만, 모두 똑같은 인간정신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킹 박사는 희귀병으로 얼굴 근육 일부만 움직일 수 있는 극단적인 장애를 겪었지만 그의 정신만은 세상 누구보다 자유로웠다. 2012 런던 ...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동아사이언스 l2018.03.15
- 문제에 대해서도 외면하지 않았다. 2012년 런던 패럴림픽 개회식에서 호킹 박사는 “인류의 표준 같은 건 없다. 하지만 우리는 ‘뭐든 창조해낼 수 있다’는, 같은 인간정신을 공유하고 있다”며 “삶이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도 그곳엔 항상 당신이 할 수 있고, 해낼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우선시했다. “다른 태양계를 탐사하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다. 지구를 떠나는 것이 인류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2016년 6월 스타무스 페스티벌에서 연설한 내용의 일부다. 호킹 박사는 자원 고갈과 환경오염, 기후 변화 등의 이유로 지구 멸망에 대한 우려를 늘 표하곤 했다. 그는 ...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동아사이언스 l2018.02.25
- 중기구석기에 이미 등장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다만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 사이에는 ‘인지적 유동성’이라는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이론이 있다”며 “인지적 유동성의 핵심은 기존 소재나 규칙 등을 가지고 새롭게 조합하는 능력인 창조성인데, 이것을 네안데르탈인이 지니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섭취하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수렵‘채취’인으로 녹말이 주성분인 식물 식량이 인류의 생존에 얼마나 중요했는가를 아는 필자로서는 놀라운 왜곡이었다. 존 유드킨은 정말 희생양이었는가 학술지 ‘사이언스’ 2월 16일자에는 2016년 알트메트릭 인기논문 5위에 오른, 제당업계의 음모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유전자편집으로 벌거숭이두더지쥐화 한다면 극단적으로 노화 속도가 지연되는 신인류가 탄생할지도 모른다. 영화 ‘가타카’의 설정이 현실이 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2018.02.01
- “역사적으로 백두산과 같은 슈퍼화산 폭발은 몇 번 없었다”며 “약 7만 4000년 전 인류를 멸종 위기로 몰아넣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토바 화산의 화산폭발지수는 8로, 백두산보다 약 10배 강력했다”고 말했다. 강력한 폭발 전력을 가진 백두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향후 폭발 시기와 피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갖고 있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쪽을 비롯한 많은 식물이 인디고를 만들고 인류는 수천 년 전부터 이를 파란색소로 이용해왔다. 식물은 잎 세포의 액포에 물에 녹는 배당체인 인디칸 형태로 저장하고 엽록체에 이를 분해하는 효소를 갖고 있다. 세포가 손상돼 액포가 분해효소에 노출되면 배당체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0_정말 사자도 사냥했을까?] 사냥꾼과 개 두 마리가 커다란 수사자와 맞서고 있다. - ‘인류학적 고고학 저널’ 제공 이번 사냥감은 덩치가 커다란 사자다. 왼편 사냥꾼 한 명과 수캐 두 마리가 가운데 수사자와 마주하고 있다(생식기가 잘 묘사돼 있어 성별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림에는 나오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극복하는 일이 만만치 않음을 짐작케 한다. 리뷰논문에서 저자들은 “지난 천 년 동안 인류가 생리적 한계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테스트하기는 어려웠다”며 “오늘날 우리는 이 한계를 인식하게 된 첫 세대”라고 담담히 서술했다. 그리고 미래 과학의 힘에 막연히 기대할 게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