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류"(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2016.09.26
- 자연으로 돌려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육류소비가 크게 줄므로). 얼핏 생각하면 인류가 지속가능하면서도 건강에도 좋은 식단으로 바꾸는 게 별로 어려운 일도 아닐 것 같지만(필자처럼 이미 부분채식에 가까운 식생활을 하고 있는 입장에서는), 막상 주변을 보면 ‘정제된 당류, 정제된 지방과 ...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2016.09.19
- 얼마 전 TV 외신에서 압수한 엄청난 양의 상아를 태워버리는 장면을 본 기억이 난다.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직업이라는 ‘매춘’을 근절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이를 합법화해 사람들의 욕망을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고 실제 여러 나라에서 공창제도를 실시하고 있듯이 이제 상아에 대한 ... ...
- SF거장 ‘조지 웰스’ 탄생 150주년의 의미동아사이언스 l2016.09.11
- 발견했다. ‘사이언스’ 9일자 표지에는 지카 바이러스 백신 개발의 초입에 들어선 인류의 갈등을 나타낸 그림이 실렸다. 마이클 오스터홈 미국 미네소타대 감염병연구정책센터장은 사이언스에 낸 기고문에서 “아직 정식으로 승인된 백신은 없지만, 세계는 단기간 내에 대유행 병에 맞서는 ... ...
- ‘이 또한 지나가리’ 스트레스 이기는데 효과적일까2016.08.23
- 있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좀 더 넓게는 자신의 문제에 함몰되어 있던 시선에서 벗어나 ‘인류’ 전체나 ‘지구적’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다든가 하는 시도들도 효과적이라고 한다. 길고 긴 장애물 달리기 같은 삶에서 이런 대처법들이 장애물들을 객관적으로 보여주고 정서적 충격을 버퍼해주는 ... ...
- [표지로 읽는 과학] 2배 더 정확한 뇌지도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6.08.15
- 감각, 언어, 사고, 인지, 행동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다. 의학적 치료나 인류의 진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능에 따른 영역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대뇌피질의 각 부위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과학계의 꾸준한 도전과제였다. 미국 워싱턴대와 미네소타대, ... ...
- 더우면 난폭해진다, 진짜일까?2016.08.09
- 에어컨을 만들어 주신 캐리어 선생께 감사를 드리며, 아마 의도하진 않았겠지만 선생이 인류사의 폭력을 줄이는데 큰 역할을 했을지도 모르겠단 생각을 해본다. ※ 참고문헌 Anderson, C. A. (2001). Heat and violenc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0, 33–38. Kenrick, D.T., & MacFarlane, S.W. (1984). Ambient ... ...
- 화학계의 알파고, 케마티카(Chematica)를 탄생시키다IBS l2016.08.03
- 인공지능이 머지않아 인류를 위협할 것이라는 디스토피아적 전망도 함께 쏟아졌다. 이제 인류는 인공지능 시대를 체감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대체할 일자리를 예측하는 기사도 나왔다. 과연 인공지능은 과학자의 역할마저 대체할 수 있을까? UNIST에 있는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단장 스티브 그래닉 ... ...
- [카드뉴스] 인류를 구원할 답을 찾아 떠나는 우주여행, 영화 인터스텔라(2014)IBS l2016.07.01
-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2016.06.20
- 2004년 발굴 논문을 쓸 때 좀 더 면밀히 살펴봤더라면 호빗을 둘러싼 소모적인 현생인류 논란은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네이처’ 6월 9일자에는 관련 기사도 실려 있는데 2012년 마지막으로 발굴현장을 찾은 모우드 교수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당시 전립선암이 많이 진행된 상태의 모우드는 ...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2016.06.13
- 목록에서 합성화합물을 빼버린다면 인류의 평균수명은 뚝 떨어질 것이다. 한편 오늘날 인류가 처한 에너지, 환경 위기를 극복(또는 완화)하는데도 아이러니하게도 새로운 재료, 즉 화합물이 필요하다. 21세기는 재료과학의 시대라는 말도 있지만 고효율의 태양전지 등 환경친화적인 인프라가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