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스페셜
"
예
"(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있다. 실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약물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가 50~70% 더 많다. 대표적인
예
가 수면제인 졸피뎀(Zolpidem)으로 많은 여성들이 다음날 오전에도 운전을 제대로 못할 정도로 정신이 흐릿하다는 부작용을 호소했다. 결국 미국 식약처(FDA)는 전면적인 재조사에 들어갔고 여성이 이 약물을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
2017.08.26
우파라고 칭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세상에는 원래 보다 우월한 집단(
예
를들어 백인)과 보다 열등한 집단이 존재한다’고 보며 강자에 의한 약자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사회지배 성향(social dominance orientation)을 강하게 보였다. 또 ‘어렸을 때부터 권위를 존경하고 복종하는 법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않았다). 당시 필자는 비소박테리아 논문을 읽어본 뒤 ‘이건 아닌 것 같다’는
예
감이 들었지만 이번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논문은 잘 모르겠다. 부디 탄소13 동위원소 표지법 실험에서도 폴리에틸렌을 분해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오고 효소 시스템도 밝혀져 플라스틱 쓰레기 대란을 막는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유사성을 바탕으로 기능을 추정하는 빅데이터 분석법이 여기서는 잘 통하지 않는다.
예
를 들어 유럽에서 수백 년 전부터 심장질환 치료제로 쓰인 디기탈리스 추출물의 경우 유효성분이 디곡신(digoxin)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디곡신은 환자에 따라 약효가 들쑥날쑥했다. 원인을 알아보니 효과를 못 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왼쪽) 회로가 있는 변이생쥐는 제법 그럴듯하게 쥐고 먹는다(오른쪽). - 사이언스 제공
예
를 들어 소면처럼 생긴 파스타인 카펠리니를 줄 경우 정상생쥐는 양 발바닥 사이에 엉거주춤하게 잡고 갉아먹는 반면 변이 생쥐는 사람처럼 발가락으로 카펠리니를 쥐고 먹는다. 그 결과 더 쉽고 빠르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적용한 운동이 머리를 쓰게 하는 건지 아닌지 여부를 보면 어느 정도 설명이 된다.
예
를 들어 3개월 동안 고정된 자전거를 타는 운동을 했을 때 인지력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그냥 자전거를 탄 사람들보다 가상투어를 체험한 그룹이 훨씬 효과가 컸다. 최근에는 자전거를 타며 비디오게임을 할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
2017.07.05
가사도 이런 작업에 방해가 된다. 필자도 글을 쓸 때 잔잔한 클래식 음악을 듣거나 아
예
오디오를 끈다. 과학자들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같은 장치를 써서 내적 언어 활동을 할 때 정말 언어 관련 뇌회로가 작동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말을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좌측 하전두회(브로니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예
상치 못한 발견으로 최근 호모 날레디가 불과 30만 년 전에 살았다는 논문 발표가 그런
예
다(학술지 ‘이라이프’ 5월 9일자). 2015년 호모 날레디가 처음 소개됐을 때는 호모속(屬)으로 분류는 했지만 작은 뇌 용량 등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과 과도기적인 특징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당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발현량이 다르고 영양 섭취의 한 축을 담당하는 장내미생물의 조성도 다르기 때문이다.
예
를 들어 바나나와 쿠키의 경우 언뜻 생각하면 바나나가 혈당지수가 낮을 것 같지만 그 반대인 사람도 있다. 심지어 사람에 따라서는 흰빵보다 통밀빵이 혈당지수가 더 높기도 하다. 지난 2015년 이스라엘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들어가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같은 크기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12%에 불과하다.
예
를 들어 2014년 캐나다 노던브리티시컬럼비아대에 지은 30미터 높이의 8층짜리 목재혁신ㆍ디자인센터를 짓는데 자재를 대체해 400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됐다. 뿐만 아니라 이 건물이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