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예"(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훨씬 쉽게 폭력을 행사하게 될 뿐, ‘다시는 안 그러겠지. 내가 잘 하면 괜찮겠지’같은 예상은 어긋나기 쉽다고 한다. 폭력은 처음 발생했다고 해도 그간 위에서 언급한 요소들을 통해 치밀하게 폭력을 휘둘러도 될만한 무대를 설치해왔을 가능성이 높기도 하다. 눈치챘을 때엔 이미 잘 만들어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2018.03.27
- 진피에 자리를 잡은 대식세포는 죽을 때까지 머물며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팔뚝에 문신을 하면 진피에 있는 대식세포가 안료를 먹은 뒤에도 일정 범위 안에서 계속 보초를 선다. 그런데 이 범위가 너무 좁아 우리 눈에는 한자리에 있는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시간이 지나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나타나는 논점 흐리기 방법 중에는 ‘그런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한 애들이 괜히 예민하게 구는 거다!’라며 문제의 심각성을 평가절하 하거나 문제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있다. 문제 해결 방법이 마음에 안 들거나 자꾸 불편한 사안이 문제로 올라오는 것이 싫을 때 자주 사용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무엇보다도 추정 매장량이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지질조사국(USGS)은 최근 불과 2년 사이 추정 매장량을 세 배로 올렸다. 게다가 논문에서도 미래의 리튬 공급원으로 바닷물을 언급하고 있다. 다음으로 코발트를 분석했다. 코발트는 크게 두 가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일반인 남성들과 비슷한 수준의 흥분도를 보였다. 몰카의 소비를 허용하는 문화 역시 예비 성범죄자들을 양산하는 훌륭한 토양이 될 것으로 보안다. 미디어에서 피해자를 비난하고 가해자를 옹호하는 듯한 컨텐츠를 내보내는 것 또한 사람들로 하여금 가해자를 옹호하게 만들 수 있다는 연구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뇌회로의 교차(cross talk)가 있느냐 없느냐의 여부가 아니라 정도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공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안대를 한 채 48시간을 보내면 손가락에 물체가 닿거나 소리를 들을 때 번쩍하는 뭔가를 본다고 한다. 즉 시각피질이 시각자극을 전혀 받지 못하면 그동안 눌려 있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하지 않고 따라서 여성의 ‘싫다’는 ‘좋다’인 경우가 많다고 생각하는 것이 한 예다. 많은 성범죄자들이 이러한 사고방식에 기인해 여성의 저항 자체를 성관계를 위한 전희 (foreplay) 정도로 본다고 한다. ‘좋으면서 왜 그래’ 같은 말처럼 여성의 의사와 전혀 상관 없이, 여성의 저항은 싫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의지력이 약할까 탓하지 말자. 그보다 지금 나의 환경에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요소들, 예컨대 목표 외에도 신경써야 할 일들이 많아 주의가 분산된다거나, 스트레스가 많다거나, 잠이 모자라거나 밥을 제대로 먹고있지 못하는 등 이미 너무 많은 욕구를 억누르고 있다거나, 또는 자신과의 싸움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실험데이터에 충실했을 뿐 연구비를 댄 곳의 입장에는 관심이 없었다. -미네소타대 제공 예를 들어 성인의 단백질 요구량 분석 연구에서 헤그스테드는 “(연구 결과) 미 학술연구원의 권장 하루 섭취량은 너무 높다”며 “채식만으로도 적절한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비를 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각 개체가 언제 죽을지는 알 수 없지만 전체의 절반이 죽는데 걸리는 시간은 일정하다. 예를 들어 짝짓기를 하지 않는 개체들의 사망률인 하루에 1만 마리 가운데 한 마리 꼴로 죽는 경우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반감기는 6931일(약 19년)이다. 짝짓기를 하는 개체들의 사망률인 하루에 10만 마리 가운데 한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