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d라이브러리
"
생각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인어와 함께 떠나요! 바다왕국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아름다운지를 보여주고 싶어요. ‘바다’를 떠올리면 우리 삶과 가깝지 않은 것 같지만
생각
보다 많이 의존하고 연결되거든요. 그래서 바다 생태계가 무너지면 우리 삶도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줘 바다를 꼭 지켜야한다는 점을 알리고 싶어요 ... ...
[매스미디어] 안나라수마나라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안 돼요. 그래서 저한테도 이 인터뷰가 특별해요. 여러분도 어떤 좋아하는 걸 만났다는
생각
이 들면 거침없이 해 봐도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기회가 되면 공연장에서 또 만나면 좋겠어요 ... ...
[가상 인터뷰] 꿀벌도 홀짝 구별한다!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알아내면 사람에게 이러한 홀짝에 대한 치우침이 왜 나타나는지 밝힐 수 있다고
생각
했어요. Q. 똑똑하면 쉽게 구분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아쉽게도 그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어요. 꿀벌은 카드 속 도형을 2개씩 묶어 짝을 이루지 못한 것을 구분한 거라는 추측이 나오고는 있어요. 인간의 뉴런 ... ...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엘리 드 카스트로는 “보통 모험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 밖에서 이루어진다고
생각
한다. 산이나 바다처럼”이라며 “하지만 우리 동네에서도 모험은 할 수 있다”고 했다. 카스트로는 현재 ‘익스플로어 마이 일리(Explore My Ili)’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프로젝트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직접 ... ...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해야할 시기라고 말한다. 홍 수석은 “어르신과 장애인, 어린이 등
생각
보다 많은 계층에서 키오스크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라며 “이들이 쉽게 키오스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단지 경제적인 측면이 아니라, 사회의 일원으로서 함께 살아갈 수 ... ...
[(구)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우리는 누리호 대신 컵을 쏘아 올리자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다른 컵 속으로 쏘옥 들어갔습니다. 성공!만만히
생각
하며 도전해봤습니다. 그런데
생각
만큼 쉽진 않았습니다. 30번쯤 실패를 거듭하자 슬슬 오기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사자는 토끼 한 마리를 잡을 때도 최선을 다한다는 말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기자는 사자가 되기로 했습니다. 최선을 다하기 ... ...
[기획]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떠나갔다. 그는 후배들을 잡을 수 없었다. 정부의 의지에 따라 좌우되는 사업이라
생각
했기 때문이다. “우리 기다려보자, 그래서 참아보자고 하기에는 정책의 방향에 따라 산업이 움직이는 사업이었죠. 그래서 확신하며 ‘참자’고 말은 못 했어요.” 40명이던 원전 담당 직원은 30명 정도로 줄었다.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1초 1초를 기다렸다. 마침내 스마트폰 화면에서 눈을 뗀 지수가 나를 보더니 한 말은 내가
생각
한 그 어떤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다시 말해 당혹스러운 것이었다.“아무래도 많이 피곤한 것 같은데 요새도 밤에 잘 못 자? 글 계속 쓰는 거야?”나는 맥락을 이해할 수 없었지만, 적어도 한 가지는 ... ...
[특집] 더 멋진 비눗방울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줄기를 아래로 떨어뜨려 줄기가 길게 늘어날수록 거대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
했죠. 교수팀은 다양한 길이의 중합체 가닥을 섞는 게 최적의 레시피란 걸 알아냈어요. 중합체 가닥이 서로 얽히며 비누막의 탄성력을 강화시켜주기 때문이에요. 교수팀은 이런 방법으로 평균 두께 3μm ... ...
[과학 뉴스] 공룡의 걸음걸이? 발자국 보면 알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들어서 걷는 방식이죠. 하지만 랄렌색 연구원은 용각류가 기린처럼 걸을 수 없다고
생각
했어요. 용각류 공룡의 다리는 매우 무거워서 같은 쪽에 있는 두 다리를 동시에 든다면 자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넘어질 거라 추정했거든요.연구팀은 미국 아칸소주 남서부에서 1989년과 2018년에 발견된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