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발견된 고려시대 선박이었답니다.이 배가 마도 해역 수심 15~21m에서 처음 발견됐을 때,
남아
있는 배 아랫 부분(저판)의 크기는 길이 10.8m, 너비 3.7m였어요. 바다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선박 중에 가장 큰 규모였지요. 이 배는 발견된 해역의 이름을 따 ‘마도 1호선’이라고 이름지어졌어요. 당시 배의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하기 때문에 손에 공격을 많이 받았다고 해요. 지금도 김 박사님의 손에는 흉터가 여럿
남아
있답니다.펭펭 수학 추운 곳에서 살려면 표면적 줄여라!극지에 사는 동물은 대부분 덩치가 크다. 그 이유는 부피와 표면적의 비에 있다. 구의 부피와 표면적을 생각해 보자. 반지름이 r인 구의 부피는 4/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에테르와 알코올은 모두 증발하고, 플라스크 안에는 오직 니트로셀룰로오스 성분만
남아
있었던 것이다.베네딕투스는 이런 기이한 현상에 흥미를 느끼고 같은 조건으로 다시 실험했다. 그 결과 니트로셀룰로오스가 깨진 유리 조각을 묶어주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하지만 당시에는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인간을 훨씬 넘어섰다는 건 누구나 인정한다. 하지만 인간에겐 아직 비장의 무기가
남아
있다. 바로 상상력과 창조성이다. 사람은 누구나 혼자만의 엉뚱한 상상에 빠지곤 한다. 지도 위에 보이지 않는 목적지를 찾아 헤매고 없는 길을 한 걸음씩 만들어 가기도 한다.컴퓨터에겐 아직 이런 능력이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탈출합니다. 에볼라는 마지막까지 나쁜 짓을 하고 떠나네요. 그럼 ‘쇼미더에볼라’에
남아
있는 TOP5는 이 과정에서 어떻게 에볼라를 공략하는 걸까요? 맘에 드는 치료제가 있다면 아래 그림에서 확인하시고 오디션이 끝날 때까지 응원해주시기 바랍니다.드디어 우승자를 발표할 시간입니다. 심사 ... ...
[과학뉴스] 미라 100만 구 묻힌 거대 묘지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손목에 팔찌를 착용한 18개월 여아의 시신. 건조한 환경 탓에 훼손되지 않고 미라로 발견됐다.]이집트 중부에서 시신 100만 구 이상이 묻혀있는 사상 최대 크기의 공동묘지 ... 묘지 근처에 시신을 수용할 만한 큰 도시가 없어 100만 구가 넘는 시신이 어디서 왔는지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완전히 사라지기 어렵다. 앞으로 의학 발전에 따라 성감별이 더 쉬워질 것이다. 전통적인
남아
선호 사상과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이 만들어낸 성비 불균형 사회는 잉여 남성, 외국인 아내 유입, 고령화라는 과제를 던졌다. 우리에게 ‘여초(女超)시대’란 없다 ... ...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우주의 비밀을 파헤칠 임무는 이제 미래의 물리학자, 천문학자인 여러분의 몫으로
남아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PART2. 상대성이론 이해하기PART3. 우주를 뒤바꾼 일반상대성이론PART4. 일반상대성이론 ... ...
[과학뉴스] 전쟁 때 태어난
남아
는 건강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여아보다 훨씬 적게 태어났는데, 이 때 태어난
남아
들은 출생성비가 정상인 해에 태어난
남아
보다 유아기 생존률이 8% 높았다. 또한 성인이 됐을 때 자손을 4% 더 많이 남겼다 ... ...
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조각조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도시 밖으로 나가. 그래서 포식자 역할을 할 야생동물들이 사라진 거란다.야생동물이
남아
있더라도 또 다른 문제를 겪게 돼. 녹지가 고립되면 이곳에 사는 생물들은 마치 섬처럼 갇힌 생태계를 이뤄. 이때 가장 큰 문제는 유전자 다양성★이 사라진다는 점이야. 넓은 지역에서는 한 종이 여러 곳에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