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크게 확장돼 84개의 유전자로 증가한 데 비해, 인간과 유인원에서는 유전자 1개로 남아 있었습니다.왜 이렇게 진화했는지는 아직까지 정확히 모릅니다. 하지만 생존환경에 따라 필요 없는 수용체(유전자)는 퇴화하고 필요한 수용체는 늘어났겠지요. 요시히토 교수는 “영장류 같은 고등 동물일수록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의구심을 품거나 반대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핵변환까지 나아가기까지 가시밭길이 남아 있다. 하지만 다양한 기술적 대안이 있다면 서로 장단점을 비교해 보며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핵폐기물 문제는 발등의 불이고, 현재 나와 있는 어떤 해결책도 100% 만족스럽지는 않다.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말했다. 위트 있는 그의 모습과 코르크 마개 앞에 쩔쩔대는 필자의 모습이 사진으로 남아있다. 나는 모세르 부부와도 연구를 함께 한 적이 있다. 2005년 격자세포 발견 이후, 모세르 부부는 2008년에 ‘신경 조직망, 공간의 재현과 기억’ 워크샵을 주최했다. 세계적으로 수가 많지 않은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교수님. 죄송합니다. 제가 마지막 질문을 잊어버렸네요.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이럴 때를 대비해 메모를 해놨거든요. 금방 찾을 거예요. 음…, 그런데 못 찾겠네요. 죄송 ... 폭발적인 디지털 문명이 이런 경향을 가속화할까. 답은 후대 인만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럴 지능이 남아 있다면 ... ...
- [생활] 정체를 감추고 있는, x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일반적인 프랑스어에서는 y와 z가 x보다 더 자주 쓰였기 때문에, 인쇄업자가 많이 남아 있는 x 활자로 미지수를 나타낸 것이다.두 번째는 독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독일 사람들은 미지수를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를 사용했다. 이 기호가 x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것을 보고 데카르트가 ...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작품 몇 점을 살펴봤다. 고흐는 서양 미술사에서 가장 위대한 화가 중 한 사람으로 남아 지금도 많은 예술가들이 그의 작품을 연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연구는 비단 예술가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과학자와 수학자들도 고흐의 위대한 유산을 연구하고 있다.고흐의 소용돌이에 ‘유체역학’이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않고 다시 몸속으로 끌어온다. 그럼 오줌에 있던 노폐물도 배출되지 못하고 몸속에 남아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관절염 뼈와 뼈가 이어지는 관절에는 물렁물렁한 물렁뼈가 쿠션 역할을 한다. 그런데 물이 부족하면 물렁뼈가 약해져 제 역할을 못해 움직일 때마다 통증을 느끼는 관절염이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기억하려는 듯 말라카에는 아직도 식민지 시절 각국의 역사 유물과 건축 양식이 그대로 남아 있어요. 하지만 이렇게 여러 나라의 유산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공존하는 독특한 매력 덕분에 말라카는 2008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될 수 있었습니다.실크로드★ 고대 중국과 서역 국가 간에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갤럭시아스 아테누아투스(뱅어 의 일종)' 등 일부 민물고기가 호주와 뉴질랜드, 멀리 남아메리 카에 걸쳐 발견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는다. 바다로 나가면 죽는 민물고기가 어떻게 대양을 건넜을까. 다윈 역시 머리가 아팠다. 창조론자의 귀에 들어가면 공격을 면치 못할 사안이었 기 때문이다. ... ...
- [과학뉴스] 식물인간도 영화 볼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약물을 주입해 그를 깨운다. 정밀 검사 결과, 뇌사 상태가 아니라 의식이 미약하게 남아 있었던 것이다. 최근 연구 결과를 보면 이렇게 영화와 같은 일이 현실에서도 가능할지 모른다.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 신경과학과 에이드리언 오언 교수팀은 최근 일부 식물인간이 건강한 사람과 똑같이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