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더 단순하다.여기까지 보면 라이프니츠가 이긴 것 같다. 그런데 뉴턴에겐 필살기가 남아있었다. 바로 처음 나왔던 ‘양동이 논변’이다. 관성운동에서는 물체가 정지해 있는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지 판가름할 방법이 없지만, 회전처럼 비관성운동에서는 무엇이 움직이고 무엇이 움직이지 ...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치아 등에 기록된 안정동위원소 비율은 섭취한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인골에 남아 있는 콜라겐 단백질 성분을 화학적인방법으로 추출한 뒤 국립문화재연구소 동위원소분석실에 있는 탄소 질소 원소분석기로 분석하면, 인골의 주인공이 생전에 어떤 식물을 먹었는지(잡곡인지 초본이나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보관돼 있어요. 바깥 공기에 변질된 다른 암석과 달리 수십만 년 전의 기후 자료가 남아 있는 암석 말이에요. 빛이 전혀 없기 때문에 과학자들이 궁금해 하는 의문을 풀어 줄 생물도 숨어 있답니다. 이들 모두가 바로 과학자가 찾는 동굴의 ‘보물’인 셈이에요. 탐험 2 석순 속 기후변화 단서를 ... ...
- [과학뉴스] 왕년의 거대 가속기 ‘테바트론’이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충돌 실험 데이터는 페르미연구소의 자료 테이프에 담긴 채 저장실(사진)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자료를 다시 활용할 길은 없을까.페르미연구소는 1월 29일, 테바트론의 방대한 실험 자료를 원하는 과학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2년간 보존, 정리하는 자체 프로젝트를 완수했다고 밝혔다. 힉스 ... ...
- [과학뉴스] 11.4cm 장수하늘소 표본 보러 오세요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현재는 지난해 8월 수컷 성충 한 마리가 발견된 게 유일한 사례로 남아 있다.이번에 기증 받은 표본은 길이가 아이폰 6(13.8cm)보다 조금 짧은 11.4cm로 지금까지 만들어진 장수하늘소 표본 중 최대 크기다. 수집가인 홍승표 씨(58)는 이 표본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 전인 1968년 ... ...
- 매머드 멸종, 혜성 때문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점이에요. 혜성 충돌로 재가 만들어졌다면 굉장히 높은 온도에서 만들어진 특성이 남아 있어야 하는데, 그런 게 발견되지 않았답니다. 세 번째는 발견되는 재의 범위가 지층 속에 약 3000년에 걸쳐 분포해 있다는 점이에요. 혜성 충돌은 한날 한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특정 시기의 지층에만 재가 쌓여 ...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산가쿠도 세월의 무게만큼 퇴색되고 낡아서 제대로 읽을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하게 남아 있었다. 다행히 전시된 산가쿠 아래에 복사본이 있어 내용을 알아보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그날 밤 늦게 자료를 정리하다가 야수이 신사에는 최근에 만들어진 산가쿠가 몇 개 더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달리 본체만 있어서, 모니터나 TV를 따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요.“현재 세계적으로 남아 있는 Apple 1 50대 중 6대만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어요. 그 중 한 대가 이곳에 전시되어 있죠. 특히 스티브 워즈니악이 직접 사인을 해 주었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있는 컴퓨터랍니다.”도슨트의 설명을 ... ...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꽃 정원 사원)을 시작으로 여러 사원을 방문했다. 아무래도 치앙마이는 미얀마를 비롯 동남아시아의 여러 불교 국가의 영향을 받아 사원마다 각각의 특징이 도드라졌다. 어떤 사원은 도자기로 만든 타일이 외벽을 둘러싸고 있었고, 또 다른 사원은 은으로 도금된 곳도 있었다. 김하은 독자기자가 ... ...
- PART 2. 빙하동물의 천국, 매머드 스텝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중인 하와이는 열대와 가까운 저위도에 위치한 섬이지만 산에 빙하가 확장한 흔적이 남아 있다.빙하기와 간빙기에는 빙하에 따라 식 생도 확장하거나 후퇴한다. 대표적인 식 생 변화는 나무가 살 수 있는 한계 즉, 산 림한계선의 이동이다. 나무는 풀이나 선 태류(이끼)보다 추위를 잘 견디지 못한 다.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