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14건 검색되었습니다.
입 안 헹구면 끝…코로나 검체 채취 가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사람코로나바이러스(HCoV-229E)와 코로나19 바이러스 등에 효과적으로 결합해 피부
표면
에 강하게 붙어있는 바이러스까지 잘 떼어낸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점을 이용해 입 안의 바이러스를 고농도로 채취하는 가글을 개발하고 관련 상품 '빈 가드 가글'을 출시, 시판에 들어갔다. 가글 형태이기 ... ...
라오스서 코로나19 친척뻘 바이러스 3종 발견…"자연 기원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특히 안지오텐신 분해효소2(ACE2) 관련 부분이 유전적으로 유사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
을 덮고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인간 세포에 붙는다. ACE2는 인간세포에 달린 수용체로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한다. 박쥐에서 발견된 바이러스 3종은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ACE2에 더 ... ...
오미크론 변이 전용 백신 동물 실험서 ‘기대 이하’
동아사이언스
l
2022.02.15
증식을 마친 오미크론 바이러스 입자들(주황색)이 세포
표면
으로 이동하는 장면이다. 오미크론은 다른 변이에 비해 폐 안쪽 깊숙이까지는 잘 침투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홍콩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를 표적으로 한 백신이 초기 동물실험 결과 ... ...
스페이스X 11월에 민간 최장거리 우주여행과 첫 우주유영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5
만에 가장 먼 민간 우주여행 기록을 세우게 된다. 아이잭먼 CEO는 “인간이 마지막으로 달
표면
위를 걸은 이후 어떤 누구보다도 더 멀리 갈 것"이라고 밝혔다. 우주선은 스페이스X의 크루 드래건이 사용된다. 오는 11월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되고 목표 고도에 도달하면 최대 5일 동안 지구를 도는 ... ...
[올림픽 과학상식] 올림픽 경기에 사용하는 눈과 얼음
동아사이언스
l
2022.02.12
한다는 것과 아주 평평한 얼음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높이 1~2mm 너비 3~10mm의 얼음 자갈을
표면
에 던졌을 때 미끄러질 때까지 약 2.5cm 칼날로 얼음을 긁어내야 한다. 피겨 스케이팅의 얼음 온도는 영하 3도에서 영하 2도 정도로 스피드 스케이팅이나 컬링보다 살짝 높다. 선수가 스케이트날로 착지할 ... ...
겨울철 고민 실내 오염물질 없애기
과학동아
l
2022.02.12
분해하는 촉매로 백금과 같은 귀금속을 활용한다. 하지만 이 경우 반응물질이
표면
에 부착돼 사용 기간이 늘어날수록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공성 구조인 크립토멜레인을 활용하면 원자 크기의 구멍으로 포름알데하이드가 통과하며 흡착, 파괴된다. 다이슨은 지난해 12월 ... ...
감염으로 생긴 항체, 백신 항체보다 재감염 더 잘 막는다
연합뉴스
l
2022.02.11
이스라엘 연구진, 유럽 임상 미생물학ㆍ감염병 총회 보고서 사전 공개 배양 세포
표면
에서 빠져나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적색)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이미지. [미국 NIAID(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재판매 및 DB 금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접종자 중에는 이 ... ...
'지구도 겪을 마지막 숙명' 백색왜성에 흡수되는 행성의 마지막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02.10
확인했다. 백색왜성 근처를 도는 파괴된 천체 중 일부는 별에 중력으로 끌어당겨지면서
표면
에 부딪혀 흡수되는 '강착' 현상을 일으킨다. 이때 충격으로 10만~100만 도까지 가열되는 플라즈마를 만든다. 플라즈마는 이후 점차 냉각되면서 X선을 방출한다. X선 관측을 통해 백색왜성의 특성을 ... ...
14일 고위험군 중심 노바백스 접종 시작…일반인 잔여백신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2.02.10
형태로 인체에 주입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과 주변 당 분자를 제조해 보조 물질과 함께 투여한다. 이런 이유로 ‘합성항원’ 또는 ‘재조합 단백질’ 백신으로 불리기도 한다. 노바백스가 공개한 임상시험 결과에 ... ...
딥러닝 기법으로 수십초 내 98% 정확도로 박테리아 검출
연합뉴스
l
2022.02.10
검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박테리아가 담긴 용액을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SERS) 측정 기판에 올린 뒤 박테리아 신호를 측정하고 딥러닝을 통해 분석했다. SERS는 레이저를 쪼일 때 빛과 분자 간 상호작용으로 신호가 증폭되는 현상 등을 이용하는데, 다양한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