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고담(GOTHAM)의 ‘풍선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기체를 이용합니다. 공기의 비중을 1이라고 했을 때, 헬륨은 0.138이니까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이죠. 드라마에서 나온 헬륨 풍선은 지름이 사람의 키만한 풍선이었습니다. 1.8m 정도라고 해두죠. 헬륨 풍선 역시 부력에 의해 위로 올라갑니다. 부력을 구하는 공식은 ‘밀도의 차이(Δρ)x부피x중력가속도(g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에 몰두했다. 국내에연구자가 없던 분야라 혼자 끙끙대다가 1년 동안 논문을 한 편밖에 못썼다. 다니던 대학에서 계약연장에 실패했다. 몇 달간 월급이 끊겼다. 다행히 주변 교수들이 연구비를 십시일반으로 모아줘 하루하루 버틸 수 있었다. ‘내가 무슨 잘못을 한 걸까’라는 생각이 머리를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벤터 박사의 논문(1파트 참조)이 발표된 지 일주일 뒤인 2010년 4월 1일, 사이언스에는 또 한편의 합성생물학 논문1)이 실렸다. 궁금한 마음에 논문을 찾아본 기자는 눈을 의심했다. 아주 익숙한 기호들이 가득했기 때문이다. AND, OR, NOT게이트까지, 컴퓨터 소스코드와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기호였다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근무하는 법의인류학자인 메리 메기에시 박사는 2005년, 당시로선 획기적인 논문 한 편을 발표했다. 머리와 몸통, 사지의 부패 정도를 기준으로 3~35점까지의 종합신체점수를 계산한 뒤 누적온도일과의 관계를 방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메기에시 박사의 방법론은 후속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감을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그림자 속에서 나무들은 존재 자체의 고통으로 줄기와 가지를 뒤트는 듯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영원한 평온 속에 잠들어 있는 듯하기도 한다.내일은 내가 맞는 마지막 날일 것이다. 문득 떠오른 생각이 이내 확신으로 바뀐다. 알 수 없는 다급함 속에 비틀거리며 일어나 냉혹하게 반짝이는 별들 ... ...
- [과학뉴스] 어린이 애니메이션, 어린이에게 해롭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제시 스트레이브 교수팀은 흥행에 성공한 전체 연령관람가 애니메이션과 영화 36편을 분석했다. 여기에는 디즈니와 픽사 등 유명 제작사의 애니메이션과, ‘메리 포핀스’, ‘사운드 오브 뮤직’ 등 잘 알려진 가족영화가 포함됐다.연구팀은 등장인물들이 어떤 사회 계급에 속해 있고 처한 상황을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긴 편입니다. 저희 아빠는 공무원이고 어머니는 선생님입니다. 집안 사정이 괜찮은 편이지만, 과외 같은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활비를 보태고 있습니다. 저도 어머니를 따라 졸업 후에는 선생님이 되고 싶습니다.물리학이 너무 재밌어서 더 공부를 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지만, 사랑하는 가족과 더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뛰어난지는 알 수 없었다. 애당초 비교대상이 적었다. 틀린 감일 수도 있었다. 틀린 편이 나을지도 모르지. 그는 그리 생각하며 쓴웃음을 지었다.그가 소금의 말을 처음 제대로 들어 준 것은 소금이 열 살 때였다. 일곱 살 때부터 그의 수업을 듣고, 인사도 하고, 질문도 했지만 그의 눈에는 소금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진동폭도 크고 속도도 빨라요. 반면 온도가 낮을수록 진동폭도 작고 속도가 느리지요.한편, 차가운 물질과 따뜻한 물질이 접촉하면 차가운 물질은 온도가 높아지고 따뜻한 물질은 온도가 낮아져요. 열이 따뜻한 곳에서 차가운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이지요. 고체와 액체, 기체에서 열이 어떻게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고등학교 때까지 배우는 수학은 아주 잘했습니다. 하지만 대학에서 배우는 수학인 편미분방정식이나 중적분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더군요. 하하.정상원 학창시절 수학을 매우 좋아했습니다. 잘하기도 했고요. 대학에서 분자생물학을 전공하면서 수학을 쓸 일이 없었는데, 게임 개발을 하면서 다시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