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대청★십자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검푸른 색소를 낸다.최고의 천연 파랑, 울트라마린한편 12세기 즈음, 물감과 유화가 발달하면서 색채 개념이 더욱 세밀해졌다. 당시 아프가니스탄에서 유럽으로 청금석(라피스라줄리)이 전해졌다. 청금석에서는 가장 희귀하고도 특별하게 아름다운 파란색인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하루에 뛰어야 하기 때문에 체력소모가 상당합니다. 레슬링은 그에 반해 여유로운 편입니다. 전날 오후 5시에 계체를 하고 다음날 오후 1시에 시합이 시작됩니다.캐 짧은 시간이지만 좀 더 효율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방법도 있나요?해 계체 후 어떤 유형의 음식을 섭취해야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지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낸 논문은 불과 30편 가량이다. 논문을 많이 내는 연구자는 이 정도 기간에 최대 수백 편을 쓴다. 민 교수는 “논문 수가 적어도 우리 팀은 항상 새로운 연구를 하고, 양질의 논문을 낸다고 인정받는다”며 “‘우리 선생님’께서도 논문 하나를 내더라도 정말 새로운 것을 하라고 하셨다”고 말했다 ...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남극 중앙해령은 해구에서 비교적 가까이 위치해 확장 속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빠른 편이다.열도맨틀의 강력한 상승작용으로 만들어진다. 남극대륙 주변에는 실제로 대규모 화산활동 증거들이 남아있다.호주 대륙약 2000만 년 전 남극대륙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분리됐다.해류극지의 환경을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내에 이식된 장기가 파괴된다. 박 교수는 “아마 다음 단계는 혈관을 만드는 유전자를 편집한 돼지 배아에 인간의 iPS세포를 주입하는 실험이 진행돼야 할 것”이라며 “실험이 성공한다면 돼지가 인간의 혈관을 가지게 되니 면역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종 간 이식에 큰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실험한 결과가 훨씬 많습니다.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세린(PS)에 대한 연구는 수천 편에 이르지만, 그 중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2015년 기준 약 97건 입니다. 세포나 동물실험에서는 효과가 있었지만 사람에게서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든 연구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미친다. 손 선임연구원은 “예전에는 데이터를 다루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려 논문 한 편에 2~3년치 적조 데이터를 비교하는 수준이었는데, 전처리 기술이 갖춰지고 나서 훨씬 장기간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손 선임연구원팀은 1998년도부터 2015년까지 남해안에서 발생했던 ... ...
- [Editor’s note] 같이 해요!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영화가 끝난 뒤에 올라가는 엔딩 크레딧을 보세요. 수많은 사람이 협력해서 영화 한 편을 만듭니다.그렇게 보면 학생들이 서로 협력해서 공부하고 뭔가 이뤄내는 수업을 도입하는 건 바람직한 일인 것 같습니다. 기왕 그렇다면 여러분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겠지요?Mamihlapinatapai를 주고받고 있지만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자주 발행하는 지질 종류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기존 산사태 사고를 분석한 결과 편마암과 화강암, 점토암(이암)으로 이뤄진 지역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지질 종류별로 관측 데이터를 축적하고, 실험실에서 토양별로 인공강우를 뿌려 어떤 조건에서 산사태가 나는지를 알아볼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부러질 수도 있다. 그래서 사냥할 때가 아니면 보통 가운데 손가락을 반대방향으로 편 채로 이동한다.재미있는 점은 자세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도 바꾼다는 점이다. 가운데 손가락을 열화상 카메라로 관찰한 결과, 아이아이가 사냥하지 않고 이동만 할 때, 즉 가운데 손가락이 쓸모 없는 시기에는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