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실험한 결과가 훨씬 많습니다.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세린(PS)에 대한 연구는 수천 편에 이르지만, 그 중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2015년 기준 약 97건 입니다. 세포나 동물실험에서는 효과가 있었지만 사람에게서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든 연구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 없는 걸까. 과도한 경쟁과 지나친 혹평, 그리고 비정한 탈락과 소수만의 승리라는 천편일률적인 도식의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우리 사회에서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페이스북의 ‘따봉충’이 진화의 산물?인간을 다른 포유류와 구분해주는 특징에는 직립보행, 불이나 도구, 언어의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제대로 펴지지 않아 궤도 안착에 실패했다.CNU세일-1은 ‘붐의 복원력’을 이용해 돛을 편다. 붐이란 돛의 뼈대 구조로, 어느 정도 장력이 있는 소재를 사용한다. CNU세일-1은 줄자를 이용한다. 연구실에 줄자가 널려있는 것도 그 때문이었다. 큐브샛 안쪽에는 말려있는 줄자가 낚시 줄에 고정돼 있다. ... ...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봄꽃이에요. 꽃자루에 면봉 모양의 꽃 송이가 모여 피지요. 꽃 하나의 줄기가 1cm로 긴 편이며, 동그란 꽃 끝에 더 작은 면봉 모양의 암술 1개와 수술 4개가 삐져나와 있어요.산수유나무는 4~7m 정도까지 자라며, 기둥 껍질이 벗겨질 듯 일어나 있어 표면이 거친 게 특징이에요. 꽃이 진 이후에 볼 수 있는 ...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는 우리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 빅데이터가 바꿔놓을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한편으로 걱정되기도 하지만, 무척이나 기대된다. 미래를 만들어나갈 데이터과학자와 앞으로 그 주역이 될지도 모르는 여러분을 응원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빅데이터가 미래다PART 1 크다고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도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한국은 다국적 연구자가 적은 편인데, 새로운 아이디어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야 한다”며 “가속기가 완성되면 세계 곳곳의 과학자들이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펨토 세계 문 여는 한국형 중이온가속기‘나노 ...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녀의 목표는 오로지 복수였고, 혈혈단신인 그녀에게는 내 편이 필요했죠. 내 편 만들기에 들어간 그녀는 수감자들을 악랄하게 괴롭히던 마녀를 죽이기로 결심합니다. 하지만 장소는 감옥, 누군가를 죽일 만한 도구는 전혀 없는 곳입니다. 누구보다 친절하고도 영리했던 그녀는 화장실 청소를 하며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람들의 귀여움을 받았다. 하지만 이전에도 지금 같았는가?상관없었다. 윤정은 마음이 편해지는 걸 느꼈다. 이제 이 감정이 어디에서 출발했는지, 누구를 거쳤는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 있는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한 건 사랑 자체였다. 이 때문에 윤정의 삶이 바뀌지는 않을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1310mm나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과 발 하나하나의 크기가 1.3m나 돼야 한다는 얘기다.한편, 미국 스탠포드대 기계공학과 생체모방조작연구소의 엘리엇 호크스 박사팀은 이와 전혀 상반된 연구 결과를 내놨다. 심지어 이 연구팀은 어떤 특별한 한 동물의 발을 모방해 만든 장갑을 끼고 벽을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다”는 저자의 말이 깊이 공감되는 건 그래서다. 마침 굴드가 27년 동안 연재한 글 31편을 엮은 ‘판다의 엄지’도 다시 번역돼 나왔다. 스티븐 제이 굴드라는, 20세기가 낳은 최고의 사상가의 지평을 한 권의 책에서 만나는 호사를 누릴 기회다. “좋은 아빠가 되고 싶다.”아내가 임신 소식을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