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리학]식물도 아프면 아스피린 먹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인도의 첫 달 탐사선 ‘찬드라얀’인도가 10월 22일 달 궤도 탐사선 ‘찬드라얀 1호’를
발사
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중국에 이어 세 번째다. 찬드라얀은 인도의 고대 언어인 산스크리트어로 ‘달 탐사선’이란 뜻이다. 찬드라얀은 달 궤도를 돌면서 지표면의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같은 광물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거북선을 100인치 스크린에서 실감나게 느낄 수 있다. 내부를 살펴볼 뿐 아니라 화포
발사
를 가상 체험할 수 있다.중생대 공룡 화석 중에는 진품 비율이 90%가 넘는 초식공룡 에드몬토사우루스를 주목할 만하다. 길이가 12m에 이르는 이 공룡은 척추 뼈에 티라노사우루스한테 물린 이빨자국이 선명하게 ... ...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원자나 나노물질의 내부구조와 움직임을 알 수 있다. 눈이 퇴화된 박쥐가 초음파를
발사
한 뒤 물체에 부딪혀 튕겨 나오는 초음파의 속도와 방향으로 주변 지형을 인식하는 방식과 같다. 최 교수는 “원자나 분자 수십~수백 개가 모여 만든 여러 가지 물질의 구조와 움직임을 이해하면 스스로 결합해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걸으면 기차를 1초 동안 움직이는 에너지를, 8400만 명이 동시에 걸으면 우주왕복선을
발사
할 수 있는 에너지가 나온다.군중의 체온을 에너지로 이용하려는 시도도 있다. 스웨덴 예른후센사는 스톡홀름 중앙역을 오가는 승객들 몸에서 나는 열을 모아 2010년 완공될 중앙역 옆 13층 건물 난방에 사용할 ... ...
50 Years of NASA’s Achievement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그해 3월에는 지름 16cm, 무게 1.5kg의 뱅가드 1호가
발사
됐다. NASA의 탄생은 스푸트니크의
발사
와 직결되며 우주에서 기술적 우위를 보이기 위해 이뤄졌다. 냉전 경쟁에 의해 1958년 7월 29일 미국 대통령 드와이트 아이젠하워는 지구 대기권과 우주 비행에 관련된 연구를 지원하는 ‘미국 항공 ... ...
달에 내 이름을 보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기록한 마이크로칩을 달기로 했거든요. ‘LRO’는 미국항공우주국에서 오는 10월에
발사
할 달 정찰 궤도선이에요. 2020년까지 진행될 유인 달탐사를 위해 달의 착륙지점을 파악하고 여러 가지 자료를 얻는 임무를 띠고 있어요.인터넷(http://lro.jhuapl.edu/NameToMoon/)에서 신청하면‘LRO’에 자신의 이름을 ... ...
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대해 2번이나 교육을 받았다. 또
발사
직전 직접 만나 마지막 교육을 받기 위해 나를
발사
현장에 초대했다. 우리의 교육용 우주실험장치가 러시아나 미국에 뒤지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어 우리나라가 자랑스러웠다.이소연 선임연구원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두르고 제트기보다 빨리, 대기권을 벗어난다. 총탄을 막아내는 일은 물론, 미사일을
발사
하고 탱크 정도는 거뜬히 들어 올린다. 미래 병사의 방탄복으로 제격이다. 그렇다면 아이언맨의 만능 슈트를 만들 수 없을까.현재 우리 군은 2020년을 목표로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한국형 방탄복과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4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점화해 충격을 줄임.오후 6:17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해 우주인들을 구조.지구 귀환은
발사
보다도 훨씬 더 긴장되는 과정이었어. 대기권에 돌입할 때의 각도가 달라져서 예상 착륙 지점에서 무려 420㎞나 떨어진 곳에 착륙했거든. 구조대가 도착해 우주인이 무사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때까지 마음을 ... ...
후광 효과를 뛰어넘은 과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 세계일보 2008년 2월 25일자 (라) 다나카 고이치는 1987년부터 2년에 걸쳐 일정 주기로
발사
되는 레이저를 이용해 단백질 분자를 분사시키는 효과를 내는 ‘연성 레이저 이탈기법’을 개발했다. 이 기법을 이용하면 고분자 단백질의 종류와 양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어 생명과학과 신약 개발 등 의학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