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궁할 때 이용하는 페트병 냄비와 우유팩 냄비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엄청난 양의 공기를 넣어 압력을 높이는데, 이때 페트병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면
발사
전에 터져버린다. 그래서 물로켓대회에서 가장 선호하는 병이 바로 압력을 가장 잘 견디는 초록색 사이다 페트병이다. 스티로폼 용기는 Oh, No!!페트병에 물을 끓일 수 있다고 해서 모든 플라스틱이 가능한 것은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남아 있다.NASA는 이미 2004년에 감마선폭발을 관측하기 위해 인공위성 ‘스위프트’를
발사
했다. 폭발위치를 X선 검출기로 먼저 감지하면, 스위프트는 인공위성 전체를 돌려 상세 관측을 시작한다. 스위프트가 감마선 폭발이 발생한 직후 폭발 지점으로 망원경 방향을 돌릴 때 걸리는 시간은 70초 ... ...
사상 최초의 우주충돌사고 긴급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4호 로켓에 취한 조치다. 그동안 로켓의 3단부에 저온추진제를 사용하던 아리안 로켓은
발사
뒤 궤도에서 남은 추진제가 팽창하면서 연료탱크가 폭발하는 사고가 6번이나 있었다. 실제로 이런 과정에서 나온 파편이 스리즈 위성과 충돌하기도 했다. 아리안 로켓 제작사인 아리안스페이스는 로켓 ... ...
보이지 않는 전자파노이즈의 위협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위해 준비 중이던 전투기 ‘F-4 팬텀’에 장착돼 있던 대지 공격용 미사일이 저절로
발사
됐다.미사일은 앞에 대기하고 있던 전투기 ‘A-4 스카이호크’에 명중했고, 여기서 흘러나온 항공유로 갑판은 순식간에 불바다로 변했다. 이 사고로 131명이 사망했고 160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 조사 결과 ... ...
SF거장 4인방, 상상 그 너머에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가장 빠르기 때문에 탈출 속도의 이득을 가장 많이 볼 수 지역이다. 그래서 각국은 로켓
발사
장을 지을 때 최대한 적도 가까운 곳에 부지를 선정한다.“여러분, 과학이란 실수에 바탕을 두지만 그 실수는 저질러 볼 가치가 있습니다.왜냐하면 우리를 조금씩 진리로 이끌어 주기 때문입니다.” -쥘 ... ...
2009년은 우주와 함께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동안 알기 힘들었던 먼 행성에 대해 더 자세히 알수 있게 되었습니다.케플러 우주 망원경
발사
외계에서 지구를 찾는다끝으로 가까운 미래의 현장을 찾아 왔습니다. 날짜는 2009년 3월 6일. 불꽃을 일으키며 우주로 올라가는 저 로켓에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실려 있습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우리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한국해양연구원 김웅서 박사는 “마치 물총을 쏘듯 먹물주머니를 수축시키면 먹물이
발사
되면서 시커멓게 시야를 가린다”며 “때로는 모양과 크기가 자신과 비슷한 미끼를 만들어 습격자의 눈을 다른 데로 돌리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오징어 낚시 현장을 취재한 프로그램을 보면 낚시에 걸려 ... ...
[지구과학]우주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외의 다른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역학적 에너지(E)가 항상 보존된다. 따라서 지구에서
발사
하는 우주선은 역학적 에너지(E)가 E>0이면 지구 중력장을 벗어나 탈출할 수 있지만 E<0이면 지구 중력장 내에서 운동한다. - 고등학교 물리Ⅱ 교과서 (나) 1929년 허블은 은하의 스펙트럼선이 긴 파장 쪽으로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지상의 전파망원경과 연결한다면 지상에서보다 훨씬 큰 구경 효과를 낼 수 있다. 2012년
발사
예정인 일본의 우주전파망원경 아스트로-G는 최대 3만 6000㎞의 궤도를 돌게 된다. 지상과 연결에 성공한다면 구경이 지구보다 큰 망원경이 우주에 떠 있게 되는 셈이다. 천체망원경 상식우주를 더 자세히 ... ...
우주항공구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우리나라 경제력과 비교했을 때 우주항공구조공학 기술은 상당히 낙후돼 있다. 인공위성
발사
와 항공기 개발에서 우주정거장 건설까지 우주항공구조공학은 우리나라와 인류의 미래를 책임질 학문이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 최근 제작된 대형항공기인 에어버스 A-380 모델의 경우 수백만 개가 넘는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