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파랑은 없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흔하지 않아 파랑에 대한 개념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대 사람들이 하늘과
바다
를 파란색으로 느끼는 것은 어려서부터 교육을 그렇게 받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그런데 고대 이집트에서는 유일하게 기원전 2000년부터 파랑을 사용했다. 당시 그려진 벽화나 피라미드 속 유물에서 ... ...
[과학뉴스] 사드 전자파(전자기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무엇보다 미군의 결과를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주장입니다. 괌의 레이더는
바다
를 향해 있지만, 국내에 배치될 레이더는 주민들의 머리 위로 지나갈 가능성이 크거든요. 전자파를 직접 쬐는 게 아니라지만, 건강에 어떤 영향을 줄지 불확실합니다.그러나 문제의 핵심은 따로 있습니다. ... ...
Intro. 극지의 심장은 뜨거웠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얼음
바다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
밑, 지형부터 알아야죠Part 2. 남극 : 가장 뜨거운
바다
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Interview. “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얼음
바다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
밑, 지형부터 알아야죠Part 2. 남극 : 가장 뜨거운
바다
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Interview. “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 ...
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바다
로 돌아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미션 1. 먼
바다
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 ...
[과학뉴스] 바닷물이 저절로 맹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정수기를 이용해 바닷물을 맹물로 정수한 뒤 마셔야 하지요. 하지만 전기를 쓸 수 없는
바다
한가운데에선 정수가 불가능해요.그런데 최근 서울대학교 김성재 교수팀이 전기 없이 바닷물을 맹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원래 정수기는 필터를 통해 물에 녹아 있는 다른 물질들을 걸러내요.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얼음
바다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
밑, 지형부터 알아야죠Part 2. 남극 : 가장 뜨거운
바다
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Interview. “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나타났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미션 1. 먼
바다
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 ...
Intro. 더위 날리는 '움직이는 색' 파랑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싶다. 그래서인지 파란 색깔만 봐도 시원해지는 느낌이 든다! 하지만 파랗게 보이는
바다
와 하늘, 심지어 나비와 카멜레온까지도 실제로는 파란색이 아니라는 사실!이 때문에 옛날 사람들은 파랑에 대한 개념이 없었다. 동굴벽화에도 파란색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고대 문헌에도 ‘파랑’이라는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일부러 새파란 줄무늬를 뽐낸다. 천적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독성이 있는
바다
민달팽이처럼 위장한 것이다. 그런데 이 조개는 물 밖으로 나오면 줄무늬의 파란색이 옅어진다.미국 하버드대 공학응용과학대학 스테판 콜 교수팀은 그 비밀을 밝혀냈다. 조개껍데기를 현미경으로 관찰했더니 나노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