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여우가 낳은 새끼 여우의 모습(➊).불법으로 포획돼 돌고래쇼에 이용되던 삼팔이가
바다
에 돌아가 새끼를 낳은 모습(➋).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처음으로 자연부화에 성공한 따오기(➌).못친 대표로 뽑힌 블롭피시에서는 지난 4월 22일부터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에서 가장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연구결과도 있지요.생체자석을 이용하는 동물들은 무척 다양해요. 철새와 연어,
바다
거북 등이 대표적이지요. 꿀벌도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비행 방향을 결정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답니다.인위적으로 세포가 자성을 띠게 만드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어요. 하버드대학교 의학대학 연구팀은 빵의 반죽을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태어난 새끼는 하루에 무려 2.5cm씩 자라서 8~10년 안에 30m가 된다. 연구팀은 수염고래가
바다
에서 동물플랑크톤과 작은 물고기들을 안정적으로 많이 먹었기 때문에 생산력 계수를 키울 수 있었다고 추정했다. 실제 고래 젖에는 인간의 모유에 비해 지방질이 20~30배 더 많이 들어 있다.고래가 육상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지금의 지구인 데는 이유가 있다. 수많은 천체와 힘겨루기를 한 결과다. 액체 물로 된
바다
, 생명력을 주는 바람과 비, 발 딛고 설 단단한 토양 등 지구가 원래 가진 속성이라기보다 우주라는 네트워크가 만든 우연한 결과다. 만약 우주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가 갑자기 사라지면 그 이후 지구는 ... ...
Part 5. 초고속열차로 하나 되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뚫을 때는
바다
속 땅이 어떤 암석으로 되어 있는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깊은
바다
속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아도 방사선이나 초음파를 이용해 땅속을 조사할 수 있답니다. 또 땅을 뚫을 때는 거대한 굴착기를 이용하지요.◀ 해저터널 공사에서 땅을 뚫는 거대한 굴착기의 모습.한편 해중터널은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많은 생명들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어요.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바다
와 숲에 사는 많은 생명들이 살 곳을 잃고, 생명다양성도 줄어들고 있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사라 프레이 박사팀이 오래된 숲이 지구온난화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숲은 중앙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지구 반대편에서 만났을 때도 여전히 속도가 같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그런데 지구의
바다
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드넓은 우주에서 각자 전혀 다른 방향에서 온 우주배경복사의 온도가 똑같다는 건 놀랍다.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없는데 어떻게 같은 온도로 우리에게 날아왔을까?이는 빅뱅 ... ...
INTRO. 수학자가 사는 법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빛 아름다운
바다
위로 붉게 물든 노을을 감상하며 생각에 잠긴 사람, 시원한
바다
바람을 맞으며 수다를 떠는 사람, 음료수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SNS에 글을 쓰는 사람. 누가 봐도 각자 휴가를 즐기는 것 같지만, 사실 이들은 함께 수학 문제를 푸는 중이다.흔히 수학은 혼자 하는 학문이라고 알고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인을 더 많이 배출했다.알제이어 교수는 “큰 물고기를 잡는 지금의 어업활동은
바다
생태계에 꼭 필요한 영양소를 없애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8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사해 소금으로 다시 태어난 환상의 드레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반도 북서부에 있는 한 호수는 소금이 지나치게 많은 탓에 생명이 살 수 없어 ‘죽은
바다
(사해)’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바닷물 1L당 소금 함유량이 30~40g인데, 사해는 200g이 넘는다. 이스라엘의 설치예술가 시갈리트 란다우는 사해를 배경으로 다양한 예술작품을 만든다. 2014년에는 사해가 얼마나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