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화
조명
점등
연소
뉴스
"
점화
"(으)로 총 249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성공을 위한 결정적 순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점화
한다. 1단이 작동하는 고도 55km에서 시속 6480km 속도를 내줘야 한다. 2단 로켓이
점화
된 누리호는 고도를 높여 가다 발사 233초 후 고도 191km를 지날 때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을 분리한다. 2009년 8월 나로호(KSLV-Ⅰ) 발사 당시 페어링 한 쪽이 분리되지 않으면서 실패한 만큼 긴장을 늦출 수 ... ...
[일문일답] 누리호 21일 오후 4시 발사..."한국이 우주로 가는 길 열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헬륨 구조물은 지상 실험했다. 그런 문제는 크게 우려되지 않는다. 지난번 발사 클러스팅
점화
1~2단 분리 위성 분리 모든 이벤트 다 성공적이었다. 거기에 변수가 없다면 성공적인 발사를 할 수 있다. 가장 우려한 게 시험 발사체 운용할 때 수백종의 밸브가 들어가는데 정상적 기능하지 않는 경우가 ... ...
[누리호 재도전]해외서도 발사 전 멈추는 일 흔해…발사 가장 큰 변수는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올해 2월 발사에서는 카운트다운이 0초가 됐음에도 데이터 전송 오류로 엔진이
점화
되지 않아 발사가 취소됐다. 6월 20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기립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일문일답] 누리호 점검 시작 "오늘 점검 끝나면 예비발사일 전 준비 가능 여부 알릴 수 있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작업을 어떻게 할지는 검토 중이다. 누리호에는 분리 등에 쓰이는 화약류와 엔진
점화
장치 등이 다 장착돼 있다. 발사체 자체가 화약류가 다 달려 있는 위험한 상태다. 작업을 조심하지 않으면 화약류 오동작 등으로 사고가 날 수 있다. 조립에는 3일 정도 걸리는데 분리는 조립과는 다르다. 다만 ... ...
누리호 발사 연기 원인 규명 착수...23일까지 발사 어려울 수도
2022.06.16
작업을 어떻게 할지는 검토 중이다. 누리호에는 분리 등에 쓰이는 화약류와 엔진
점화
장치 등이 다 장착돼 있다. 발사체 자체가 화약류가 다 달려 있는 위험한 상태다. 작업을 조심하지 않으면 화약류 오동작 등으로 사고가 날 수 있다. 조립에는 3일 정도 걸리는데 분리는 조립과는 다르다. 다만 ... ...
한달 앞 다가온 누리호 2차 발사..."결함 잡고 후속발사로 신뢰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첫 임무에 나선다. 스페이스X나 블루오리진 등이 개발한 재사용 로켓에 들어가는 재
점화
와 추력 조절 기술도 함께 확보하는 것도 목표로 세웠다. 보통 예비 타당성 조사에 7개월 정도가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결과는 올 11월 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
[르포]누리호 2차 발사 앞으로 한달 "독자개발 덕에 결함 해결 오히려 빨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장착한다. 여기서 핵심부품은 단과 단을 이어주는 파이로락이다. 파이로는 화약과 착화,
점화
를 뜻하는 단어로 여기에 ‘락’이 붙어 조립과 분리 기능을 모두 하는 잠금창치다. 공중에서 구조물을 분리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작은 크기로도 큰 하중을 버틸 수 있고 아주 빠르게 임무를 완수할 수 ... ...
누리호 후속 '차세대발사체' 2031년 달 착륙선 발사 목표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적용된다. 2단 엔진은 10t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엔진 2기로 구성된다. 여러 차례
점화
하는 기술과 추력조절 기술도 적용된다. 차세대발사체는 누리호보다 단수는 줄인 대신 추력은 늘어났다. 차세대 발사체는 달 전이궤도에 1.8t, 화성 전이궤도에 1t의 탑재체를 실어 보낼 수 있는 성능을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2) 한국에도 스페이스X보다 먼저 민간발사체 꿈꾼 기업이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1
등 발사체 추진계통의 작동성능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연소시험은 각 단별로 엔진을
점화
시켜 연소성능을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김 실장은 “현대가 국내 최초 액체로켓 시험장을 서산에 만들며 얻은 경험으로 KSR-Ⅲ 개발 당시에도 항우연 내에 13t급 엔진 연소시험장을 구축하는 사업에 ... ...
국내 첫 심우주프로젝트 달탐사선 개발 마무리 돌입…8월 우주로
연합뉴스
l
2022.04.11
적다"고 설명했다. 2단 로켓인 팰컨-9는 발사 후 1단 엔진 종료, 1단 분리, 2단 엔진
점화
, 페어링 분리 등 과정을 거쳐 KPLO가 목표한 이동 궤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우주 공간에 사출한다. 지구와 달 사이 직선거리는 38만㎞지만 KPLO는 지구에서 약 156만㎞ 떨어진 심우주까지 이동한 뒤 다시 지구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