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쎄라믹
도자기
ceramic
ceramics
뉴스
"
세라믹
"(으)로 총 191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미줄 쏘고 전기장 걸면 68배 무거운 물체가 붙잡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배 무거운 물체를 잡아채고 줄이 끊기지 않는 상태로 움직이는데 성공했다. 금속은 물론
세라믹
소재, 나무, 나뭇잎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부분 물질을 이런 식으로 잡아채는데 성공했다. 선정윤 교수는 “반도체 공정에서 웨이퍼를 옮기는 작업에 적용한다면 물리적으로 웨이퍼를 들 때 발생할 ... ...
성능 50% 향상된 3D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구동해도 성능 저하가 거의 없었다. 김형철 KIST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차세대
세라믹
연료전지 상용화를 위한 기술 한계를 뛰어넘은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에너지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 ‘에너지환경과학’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심재훈·김경훈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상금 700만원이 수여된다. 대기업 수상자인 심 책임연구원은 ‘고방열 특성을 갖는 카본
세라믹
복합재 브레이크’ 기술 개발을 통해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복합재 브레이크는 가볍고 고성능을 띠는 브레이크로 다른 브레이크와 달리 열발생이 ... ...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훨씬 얇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창원=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산화물은
세라믹
특유의 딱딱한 재질 때문에 배터리 내 음극과 양극에 붙이기 어렵다. 최근 연구가 시작된 고분자는 소재가 워낙 많아 유망하다는 평가를 받으나 전도도가 아직 황화물의 10분의 1 수준이다. 고온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 튕겨내는 '초소수성' 유지하며 강성도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6
더 두꺼운 돌기가 일종의 ‘갑옷’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실리콘과
세라믹
, 금속, 투명 유리 등에 이 같은 공정방식을 적용했다. 그 결과 높은 초소수성과 강성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초소수성과 강성은 상호 배타적인 속성이라 여겨져 왔다”며 “개발한 공정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라믹
신소재, 수 초만에 가공하는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05.03
수 초 만에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사이언스 1일자에 발표했다.
세라믹
은 작은 입자 형식의 무기질 재료에 높은 온도를 가했다 식혀 굳힌 재료다. 열에 강하고 충격에 잘 견디며 화학 반응을 좀처럼 일으키지 않아 안정적인 덕분에 식기 등에 널리 이용된다. 재료를 바꾸면 다양한 ... ...
수소차 센서·줄기세포·4차산업혁명 전문가들 훈포장…과학정보통신의 날 빛낸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대통령 표창을 받은 이종호 KIST 책임연구원은 상용화가 가능한 대면적 프로톤
세라믹
연료전지 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복잡한 특성으로 대면적화가 어려웠던 고성능 프로톤 전도성 연료전지를 대면적화할 수 있는 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프로톤 전도성 연료전지 ... ...
"연구비·장비만 있고 '사람'빠진 소부장 정책…인력확보 무게둬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넒혀 종합소재연구기관으로 변화도 앞두고 있다. 이 소장은 “연구소는 지금까지 금속,
세라믹
, 복합재료 등 전통 소재에만 관심을 맞췄지만 최근 들어 바이오 등 융합연구가 강화되면서 다양한 소재를 연구할 필요가 커졌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해외 재료 연구기관 기관장 모임을 가면 ... ...
화성에 살아도 상추쌈 먹을 수 있겠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Veggie)’라는 수경 재배장치를 제작했다. 이 장치에는 뿌리 주위에 물을 가두는 다공성
세라믹
점토가 들어있다. 또 무중력 환경에서 물방울을 잎에 맺히게 한 뒤 표면장력을 이용해 물이 뿌리까지 닿는 원리로 수분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햇빛을 ... ...
폴더블폰의 핵심 ‘커버윈도우’, 새로운 소재로 완성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같은 특성이 있으면서도 열 대신 용매로 녹이는 값싼 공정을 활용할 물질을 찾다가
세라믹
에 가까운 소재인 실리케이트(SiO₂)와 실리콘 오일(SiO) 간 중간물질을 개발했다. 실리케이트는 규소(Si)와 산소(O)가 결정 구조를 이루는 단단한 물질이다. 반면 실리콘 오일은 규소와 산소가 자유롭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