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쎄라믹
도자기
ceramic
ceramics
뉴스
"
세라믹
"(으)로 총 191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용 80%·불순물 20배↓…
세라믹
기술원 '무컬럼 정제법' 개발
연합뉴스
l
2022.04.27
학술지인 '어날리티컬 케미스트리(Analytical Chemistry)' 4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한국
세라믹
기술원 관계자는 "기술이 상용화되면 항체의약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어 국내의 관련 산업 발전은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항체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에 김창경·현택환 교수 하마평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알려졌다. 김창경 교수는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세라믹
재료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해 1997년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에 임용됐다. 김창경 교수는 지난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2008년부터 1년간 대통령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실 과학기술비서관을 역임하고 ... ...
한국연구재단 에너지·환경단장에 조준식 에너지기술연 책임연구원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2.04.01
기술이전·사업화 타당성 검토, 대외협력 업무 관련 사항 등이 있다. 조 단장은 연세대
세라믹
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방문연구원을 거쳐 2007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재직하고 있다. 2015~2018년 ... ...
[과기원은 지금] GIST, 대량 생산 가능한 소형 분광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31
유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세라믹
표면에 폴리도파민을 코팅해 이를
세라믹
코팅층 내 바인더와 연결시켜 높은 내열성을 갖는 분리막 기술을 개발했다 ... ...
尹 인수위 포진한 과학기술계 인사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7
임명된 김창경 교수는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세라믹
재료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해 1997년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에 임용됐다. 이명박 정부에서 과학비서관을 거쳐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을 지냈으며, 이후 다시 교직에 복귀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불가사리의 다공성 골격이 안 부서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2.13
골격구조를 더욱 자세히 밝히는 동시에 3D 프린팅 기술을 개선해 더 발전된 다공성
세라믹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링 리 미국 버지니아공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자연은 보통의 온도와 압력 환경에서도 주변 광물을 모아 복잡한 구조를 만들어 낸다”며 “인간이 아직 달성하지 못한 ... ...
청바지 염료로 대용량 배터리 수명과 안전성 둘 다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1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했다. 코팅법도 간단하다. 복잡하고 비싼 공정이 필요한
세라믹
코팅과 달리 용액에 담그고 꺼내는 방법만으로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수준의 얇은 프러시안 블루 막을 코팅할 수 있다. 연구팀은 분리막을 프러시안 블루 염료로 코팅한 고용량 배터리와 일반 고용량 ... ...
전자기기 고장 원인 '열' 전달 효율 높인 공정 개발
연합뉴스
l
2021.11.11
기기의 오작동 및 고장이나 수명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런 발열 문제를 연구해 온 한국
세라믹
기술원 연구팀이 전자기기 소재 내부에서 열전달을 방해하는 산소를 제어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모든 방향으로 열에너지 전달이 효율적으로 ... ...
[과기원은 지금] GIST, 암모니아 전환 고효율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하지만 기존 공정은 고압 환경에서 에너지와 비용이 많이 드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세라믹
이온 전도성 소재 기반 전기화학 셀을 이용해 상압에서 고효율로 질소산화물을 암모니아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부산물로 수소가 만들어져 친환경적이다. 논문은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세균성폐렴과 코로나19 자동 분류하는 AI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성질을 보이는데 자외선과 가시광선에만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황화구리
세라믹
물질에 원자부터 체계적으로 카이랄 특성을 부여해 긴 파장의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했다. 연구결과는 14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에 실렸다. ■ 임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